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대산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의 <隨求卽得成佛圖>와 중수 기록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and Balwonmuns on Restoring of the Statue found inside of the Wooden Seated Virocana Buddha at Sajaam Temple in Odaesan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유근자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83집, 69~10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오대산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의 복장물인 <隨求卽得成佛圖>와 2점의 중수 원문 (1894, 1908) 을 분석한 것이다.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에서 수습된 <수구즉득성불도>의 판본은 1456년에 새겨진 것으로 발원자는 광평대군의 부인 영가부부인 신씨와 그의 아들 영순군이다. 승려 信眉와 學悅은 판각 불사를 이끈 인물들로 세조가 상원사를 중창할 때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의 <수구즉득성불도>는 佛印과 符籍이 合部 된 것으로 조선시대 유행한 수구다라니 신앙을 상징하는 자료로서 주목된다. 본 논문에서 ‘수구즉득다라니’와 구별하여 불인과 부적이 합부된 것을 <수구즉득성불도>로 부르게 된 것은, 칠곡 송림사 석조천장보살좌상(1665년) 복장물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오대산의 수구다라니 신앙은 승려 보천을 통해 확인된다. 그는 울진 장천굴에서 수구다라니 독송 수행을 한 후 오대산 신성굴로 옮겨서도 이 수행을 지속한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오대산의 수구다라니 신앙은 조선시대 전기에도 계승되었는데 중대 적멸보궁의 塔印과 佛印이 새겨진 세존사리탑비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물인 <수구즉득성불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또한 상원사 영산전 존상, 목조제석천상(1466년 추정), 목조문수보살좌상(1661년)의 복장에서도 < 수구즉득성불도>와 <성불수구다라니>가 함께 수습되었다. 이 외에도 조선 전기에조성된 강릉 보현사 영산전 소조나한상과 삼척 천은사 소조아미타삼존상의 복장에서도 <수구즉득성불도>와 <성불수구다라니>가 수습되어, 조선 전기부터 불복장으로 선호된 사실이 확인된다.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의 1894년과 1908년의 중수 원문 분석에서시주자가 상궁들이라는 점을 주목한 것은, 상원사와 사자암의 조선 전기부터 시작된 왕실 원찰로서의 기능이 조선 말기까지 지속된 사실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또한 1908년 발원문에는 월정사 동별당, 동대 관음암, 상원사 승당과 대웅전, 중대사자암 등에 봉안된 불상들을 중수한 내용이 수록되어, 이 발원문은 20세기 초 오대산 사찰의 불상 중수 상황을 알려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Bokjang relics, printed and two Balwonmuns on Restoring of the Statue (1894, 1908) found inside of the Wooden Seated Virocana Buddha Statue at Sajaam Temple in Jungdae of Odaesan mountain. Thewoodenengraved plate for the printing of , which has meaning that one can attain Buddhahood immediately through seeking, was created at the request of Queen Shin (wife of Gwangpyeong-daegun) and their son Young Soon-gun in 1456. Monks Shinmi and Hakyeol led the creation of the printing plate for , and they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reconstruction of Sangwonsa Temple at the order of King Sejo. The of the Wooden Seated Virocana Buddha Statue at Sajaam Temple, was engraved and print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Buddha-seals and Buddhist talisman-seals, and this is noteworthy as a material symbolizing the Sugu-Dharani faith that was popu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t was referred to as to distinguish it from ‘Sugu-Jeukdeuk-Dharani’ because not only was it engraved and printed in a combined form of Buddha-seals and Buddhist talisman-seals, but this term was used in the records ofthe Bokjang relics of the Stone Seated Cheonjang Bodhisattva statue (1665) of Songnimsa Temple in Chilgok. It is believed that the monk Bocheon practiced the Sugu-Dharani at Jangcheon Cave in Uljin and continued this practice even after moving to Shinseong Cave in Odaesan. The Sugu-Dharani faith of Odaesan continued into the early Joseon Dynasty, as evidenced by the stone Stele inscribed with the Pagoda-seal and Buddha-seal at the Jeokmyeolbogung in Jungdae, and the , Bokjang relics from the Wooden Seated Virocana Buddha Statue at Sajaam Temple. Furthemore, and/or ‘Sugu-Dharani’ were discovered in the Bokjang relics of the statues of the Yeongsanjeon Hall, the wooden statue of Indra (estimated to be 1466), and the wooden seated statue of Manjushri Bodhisattva (1661) at Sangwonsa Temple. In addition, and ‘Sugu-Dharani’ were also found in the clay statue of the Arhat in Yeongsanjeon Hall at Bohyeonsa Temple in Gangneung and in the clay statue of the Amitabha Triad at Cheoneunsa Temple in Samcheok, both of which were creat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confirming that they were preferred as internal enshrinement items for Buddhist statu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analysis of the two Balwonmuns (1894, 1908) on Restoring for the Wooden Seated Virocana Buddha Statue at Sajaam Temple in Jungdae, Odaesan Mountain, highlighted the fact the donors werecourt ladies. This demonstrates that Sangwonsa Temple and Sajaam Temple served as royal templ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until the late period. The Balwonmun on Restoring of the Statue written in 1908 include details of the restoration of Buddhist statues enshrined at Dongbyeoldang Hall of Woljeongsa Temple, Gwaneumam in Dongdae Hermitage, Seungdang Hall and Daeungjeon Hall of Sangwonsa Temple, and at Sajaam Temple in Jungdae. This document is also significant for providing insight into the state of restoration of Buddhist statues at Odaesan temples in the early 20th century.

목차

Ⅰ. 머리말
Ⅱ.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의 <隨求卽得成佛圖>
Ⅲ.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의 중수 기록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근자. (2025).오대산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의 <隨求卽得成佛圖>와 중수 기록 분석. 동국사학, (), 69-105

MLA

유근자. "오대산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의 <隨求卽得成佛圖>와 중수 기록 분석." 동국사학, (2025): 69-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