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성찰’에 대한 고찰: 초등 3∼4학년 미술 교과서 자연 탐색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xamining ‘reflection’ in the ‘Aesthetic Experience’ Strand of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Focusing on Nature Exploration in Elementary Art Textbooks For Grades 3–4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최명숙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2집, 351~36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성찰’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의 범위는 초등 3∼4학년 미술 교과서 자연 탐색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현재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의미가 확장되었고, ‘미적 체험’ 영역의 내용 체계에 성찰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성찰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미술과 ‘미적 체험’ 영역의 성찰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았다. 첫째, 성찰의 의미는 반성이라는 표면적 개념에 머물지 않고 ‘내면적 사고와 감각의 통합적 활동’으로서 성찰을 재개념화한다. 둘째, 자연 탐색의 성찰 방법은 감각적 경험의 체화로 자연과 몸이 하나 되는 경험, 자연과의 상호작용으로 의미를 재구성, 몸과 감각을 통한 성찰적 태도 형성으로 자기 이해를 심화한다. 셋째, 성찰 교육의 방향은 생태와 지역 문화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자연 탐색의 맥락을 확장하고, 학생의 사고와 감성적 특징을 이해, 미술창작의 연계를 강화하며, ‘생각의 생각’을 통한 인지적 훈련이 필요하다. 미술교육은 성찰을 통해 학생들이 표면 너머의 숨은 진실을 찾고, 자신과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며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는 데 기여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reflection’ within the ‘aesthetic experience’ strand of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with a particular focus on nature exploration in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art textbooks. The current art curriculum’s ‘aesthetic experience’ strand has been expanded in meaning, and reflection about its content structure has been newly presented. Drawing on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is research derived implications for reflection education in the ‘aesthetic experience’ strand of the art curriculum. The findings highlight three key points. First, the meaning of reflection is reconceptualized beyond the superficial notion of ‘self-examination’ into an ‘integrated activity of inner thought and senses.’ Second, reflective methods in the context of nature exploration involve: (1) embodied sensory experiences in which nature and the body form a unified whole; (2) reconstructing meaning through interaction with nature; and (3) forming a reflective attitude through the body and senses to deepen self-understanding. Third, the direction of reflection education should: (1) consider connections with ecological and local cultural contexts to broaden the scope of nature exploration; (2) understand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3) strengthen its linkage with artistic creation, and (4) promote cognitive training through the practice of ‘thinking about thinking.’ Art education, through reflection, contributes to helping students uncover hidden truths beyond the surface, view themselves and the world anew, and discover their authentic selv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술과 ‘미적 체험’ 영역의 ‘성찰’에 대한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명숙. (2025).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성찰’에 대한 고찰: 초등 3∼4학년 미술 교과서 자연 탐색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 351-369

MLA

최명숙.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성찰’에 대한 고찰: 초등 3∼4학년 미술 교과서 자연 탐색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351-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