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큐레토리얼 실천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및 적용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rt Education Based on Curatorial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류하영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82집, 93~11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큐레토리얼 실천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에서 큐레토리얼 실천 중심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교육적 가능성과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큐레토리얼 실천을 위한 교수·학습 요소 7가지와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6학년 1학급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학생들은 작품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시각적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능력을 신장하였으며, 전시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열린 구조임을 이해하였다. 또한, 자기 주도적 학습과 의사소통, 반성적 성찰을 통합적으로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큐레토리얼 실천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실천함으로써 미술교육 수업 설계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art education grounded in the concept and pedagogical value of curatorial practice, and to examine its educational potential and effectiveness through classroom application.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e study identified seven core elements of curatorial teaching and learning and proposed an instructional model incorporating these elements.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a sixth-grade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enhanced their ability to critically interpret artworks and construct visual narratives, while also recognizing exhibitions as open-ended structures that allow for multiple interpretations. Furthermore, students engaged in self-directed learning,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n an integrated manner.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curatorial practice as a pedagogical approach that expands instructional design in art education through critical, process-oriented, and participatory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큐레토리얼 실천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Ⅳ. 수업 적용 사례와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과 미술교육에의 적용
-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미술비평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사전계획 (Forethought) 단계를 중심으로
-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팅커캐드를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AI·디지털 교육을 중심으로
- AI 시대 시각문화 환경에서의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반 뮤지엄 교육: 리움미술관 《피에르 위그: 리미널》과 소장품 연계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미술교육의 존재론적 전환: 존재와 공간 체험을 통한 재개념화
- 미술 교과서의 시각 자료 유형과 기능 분석
- 큐레토리얼 실천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및 적용
-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미술교육 내실화 방향 탐색: 스튜디오 씽킹(Studio Thinking)의 적용을 중심으로
- 비동시성 미술영재 심리 성향 및 그림 특징 연구
- ‘즐거운 생활’교과 내 미술교육 운영 경험과 교사 인식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성찰’에 대한 고찰: 초등 3∼4학년 미술 교과서 자연 탐색을 중심으로
- 농어촌 소규모학교의 방과후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참여자 인식조사: 초등학교 학부모와 미술강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과 미술교육에의 적용
-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미술비평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사전계획 (Forethought) 단계를 중심으로
-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팅커캐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