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미술비평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사전계획 (Forethought) 단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rt Criticism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cusing on the Forethought Phase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오세원 김형숙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82집, 237~26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Barry J. Zimmerman (2002)의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SRL) 이론에 기반하여, 초등학생이 자신의 인지 과정과 학습 전략을 스스로 조절하며 미술 작품을 비평할 수 있도록 돕는 주도적 비평모형 설계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자기조절학습의 순환적 구조 중 사전계획(forethought phase)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목표 설정(goal setting), 동기 신념 (self-motivation belief), 과제 분석(task analysis)의 요소를 초등학생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미술비평 활동에 앞서 자신의 비평 목표를 주체적으로 설정하고, 활동 계획을 수립하며, 과제에 적합한 전략을 설계하는 과정을 통해 미술비평 활동 전 과정에서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을 함양하는 데에 중요성이 있다. 연구 결과, 사전계획단계에 기반한‘미술비평 목표 설정 활동지’는 학습자의 사고를 구조화하는 매개로 작용하여 기존의 수동적·문답형 비평 인식을 자기주도적·창의적 비평 활동으로 전환시켰다. 또한 1·2차 아이디어 스케치와 피드백을 거쳐 비평모형을 설계·시각화하는 활동은 비평을 분석 중심에서 탐구와 표현의 과정으로 재구성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창의적 비평모형이 도출되었으며,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전략적 사고와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22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비평 역량 강화를 실현하기 위해, 단계적 구조의 기존 미술비평 교육 모델을 자율성과 창의성을 촉진하는 구조로 재구성할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나아가 학습자가 자신만의 미적 감각과 사고를 바탕으로 비평의 목표와 방향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새로운 교육 모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an alternate method of teaching art criticism by putting in place a curriculum based on Zimmerman's theory of self-regulated learning, with a focus on the forethought phase. The study tackles the drawbacks of traditional procedural art critique models, which frequently lead to teacher-directed and standardized experiences that limit students' independence and creative expression. The program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action research project in an elementary school context.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orethought phase saw a significant change in their understanding of art criticism, moving from considering it to be a strict, expert-driven process to one that is flexible, imaginative, and self-directed. Students expressed unique pathways for evaluating and appreciating artworks by externalizing their ideas through original visual models in addition to internalizing personal critique goals. Notably, students designed critique models in diverse forms—such as circular, stair-like, or decomposed formats—demonstrating strategic thinking, metacognitive awareness, and aesthetic reasoning. Ultimately,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repositioning the forethought phase as a core pedagogical framework in art criticism education. It advocates for shifting the paradigm from a teacher-centered delivery of fixed critique methods to a learner-centered construction of reflective and meaningful art engagement.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및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과 미술교육에의 적용
-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미술비평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사전계획 (Forethought) 단계를 중심으로
-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팅커캐드를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미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AI·디지털 교육을 중심으로
- AI 시대 시각문화 환경에서의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반 뮤지엄 교육: 리움미술관 《피에르 위그: 리미널》과 소장품 연계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미술교육의 존재론적 전환: 존재와 공간 체험을 통한 재개념화
- 미술 교과서의 시각 자료 유형과 기능 분석
- 큐레토리얼 실천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및 적용
-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미술교육 내실화 방향 탐색: 스튜디오 씽킹(Studio Thinking)의 적용을 중심으로
- 비동시성 미술영재 심리 성향 및 그림 특징 연구
- ‘즐거운 생활’교과 내 미술교육 운영 경험과 교사 인식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성찰’에 대한 고찰: 초등 3∼4학년 미술 교과서 자연 탐색을 중심으로
- 농어촌 소규모학교의 방과후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참여자 인식조사: 초등학교 학부모와 미술강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과 미술교육에의 적용
-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미술비평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사전계획 (Forethought) 단계를 중심으로
-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팅커캐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