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과 미술교육에의 적용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Art-Related Non-Literary Passages in the Korean CSAT and Their Application to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안지연 하영유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2집, 207~23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표준화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국어 영역 비문학 지문 가운데 예술 분야 지문을 분석하고, 이를 미술교육에 활용한 사례를 통해 수능 지문의 교육적 함의와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며, 나아가 미술교육이 개념 중심의 사고 훈련을 강화하고, 시각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길러줄 수 있는 방향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94학년도부터 2025학년도까지 시행된 수능 및 6·9월 모의평가의 국어 영역 비문학 지문 85종 중 예술 분야 46편을 ‘예술 철학 및 미학’, ‘미술 표현’, ‘미술 감상과 비평’, ‘미술의 기능과 역할’, ‘예술과 타분야의 융합’의 5개 분류로 범주화하여 살펴본 결과, 수능의 예술 지문은 단순 사실 전달을 넘어 학습자의 사유와 해석, 비판적 사고에 중심을 둠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지문을 동기유발, 수업보조, 평가 자료로 활용한 사례를 제시하고 대학 교양 수업에서의 실제 적용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수능의 비문학 예술 지문이 미술 수업에서도 심화된 개념 이해와 고차적 사고 훈련을 위한 유용한 교육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예술을 언어화하고 사유하는 고등차원적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이는 국가적 평가가 미술의 미학적, 이론적 내용을 엄밀하게 다루는 반면, 학교 미술교육은 그 내용을 충분히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미술교육이 이론적 사고, 개념적 이해, 비판적 감상의 능력을 포함한 교육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역설적으로 뒷받침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art-related non-literary passages from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examines cases of their application in art education to explore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potential. It further argues for restructuring school art education to strengthen concept-based thinking skills and deepen understanding of the visual arts. Among 85 non-literary passages from the CSAT and its June/September mock tests administered between 1994 and 2025, 46 art-related text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rt philosophy and aesthetics,’ ‘artistic expressio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functions and roles of art,’ an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of art.’ Analysis shows that these passages focus not only on factual information but also on reasoning, interpretation, and critical thinking. Examples are presented of their use as motivational, supplementary, and assessment materials, along with results from their integration into a university general art course.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CSAT art passages can serve as valuable resources for fostering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higher-order thinking in art classes, functioning as advanced texts for articulating and reflecting on art. This supports the need to expand art education toward a holistic approach encompassing theoretical thinking,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critical appreci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수능의 역할과 수능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
Ⅲ. 고등학교 미술 수업에서의 수능 비문학 지문의 활용
Ⅳ. 수능 비문학 지문을 활용한 교양교육과 학습자의 성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지연,하영유. (2025).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과 미술교육에의 적용. 미술교육연구논총, (), 207-235

MLA

안지연,하영유.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과 미술교육에의 적용."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207-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