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팅커캐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Study of Direct Instruction in Digital-Based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TinkerCAD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선혜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2집, 269~29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일상화와 학습자 중심 교육의 강화라는 교육 환경의 변화 속에서, 초등 미술 수업에서의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 직접교수법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에 적용한 실천적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설계·운영하였으며, 수업 전반의 학습자 반응, 결과물, 인터뷰, 관찰 기록을 기반으로 한 질적 사례 연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팅커캐드의 기초 기능(도형 생성, 크기 조정, 색상 변경, 구조 합성 등) 습득은 창의적 표현을 위한 도구적 기반이 되었으며, 직접교수법의 구조화된 시범과 반복 연습은 기능 습득과 창의적 전환 간의 균형을 촉진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수업을 통해 작품에 상징과 의미를 부여하고 시각적 요소에 인코딩하여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타인의 시각적 결과물 속 의미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능력도 증진되었다. 셋째, 본 사례는 초등 미술교육에서 기능과 표현의 통합적 접근이 가능함을 보여주며, 디지털 기반 수업이 학습자의 자율성과 사회적 소통 역량을 동시에 신장할 수 있는 교육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구조화된 수업 설계 모델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초등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창의성을 통합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성을 제공하며, 교수학습 전략 연구 및 현장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examines direct instruction as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in elementary art education, particularly within an evolving educational landscape shaped by the norma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increasing emphasis on learner-centered approaches. The primary aim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practical model for applying direct instruction in digital-based design clas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ixth-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mploy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grounded in learners’ responses, creative outputs,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record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stery of basic Tinkercad functions—such as shape creation, resizing, color adjustment, and structural composition—provided a foundation for creative expression, while the structured demonstrations and iterative practice inherent in direct instruction fostered a balance between skill acquisition and creative transformation. Second, learners improved their ability to embed symbols and meanings in their own work, encode these into visual elements, and interpret and appreciate such meanings in the works of others. Third, the cas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technical skills with expressive capabilities in elementary art education,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digital-based instruction to simultaneously promote learner autonomy and social communication skills. By presenting a detailed and structur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suited to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offers practical guidance for integrating digital literacy with creativity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results hold significant value for both the theoretical exploration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직접 교수법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Ⅳ.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프로그램 사례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혜. (2025).직접교수법을 적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팅커캐드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 269-295

MLA

이선혜.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팅커캐드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269-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