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of and Rules for the Identity of Permutation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규희(Gyuhee Yi)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7권 제3호, 687~7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교과서 증명을 Toulmin(2003)의 논증 모델로 도식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증명 규칙(Rule of Proof, RoP)을 도출한 뒤, 고등학생들이 구성한 증명과 비교⋅분석하였다. 교과서 증명은 좌변과 우변을 자료(D1, D2)로 설정하고 계승으로 나타낸 논증(A1, A2)으로 코딩한 결과 D2-A2-A1-D1 구조로 전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과서 증명의 구조는 우변에서 출발(S1)하여, 계승을 이용한 순열의 수 nPr 의 정의(W1), 대입(W2), 대수적 산술(W3)을 근거로 연역적 순서(S2)에 따라 필수 논증을 명시적으로 전개(S3)하고, 등호(S4)를 통해 좌변과 우변의 동치성을 단계적으로 정당화하는 규칙이 암묵적으로 내재해 있다. 이러한 증명 규칙(S1-S4)은 교과서 증명의 타당성과 구조적 일관성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반면, 학생들의 증명에서는 증명 규칙이 부분적으로만 반영되거나 암묵적으로 가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자료와 논증 연결 시 동치성을 명시하지 않거나, 논증 전개와 등호의 역할을 충분히 표현하지 않는 사례가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증명 과정의 구조와 규칙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함을 보여주며, 증명 규칙에 관한 메타지식이 증명의 완성도와 수용 가능성에 핵심적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증명 교수⋅학습에서 교사가 규칙성과 구조를 명시하고, Toulmin의 논증 모델을 기반으로 한 도식화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메타지식을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isualized the textbook proof of an equation on permutations using Toulmin’s (2003) argumentation model, derived the corresponding Rules of Proof (RoP), and compared them with proofs construct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textbook proof was structured by setting the left- and right-hand sides as data (D1, D2) and representing the factorial-based reasoning as arguments (A1, A2), forming a D2-A2-A1-D1 structure. Notably, the proof started from the right-hand side (S1), explicitly developed essential arguments (S3) along the deductive order (S2) using factorial representation (W1), substitution (W2), and algebraic manipulation (W3), and justified the equivalence of both sides step by step through equality signs (S4). These proof rules (S1-S4) were identified as core elements ensuring the validity and structural consistency of the textbook proof. In contrast, students’ proofs often partially reflected or implicitly assumed these rules. Some proofs omitted explicit recognition of equivalence when connecting data and arguments, or inadequately represented argumentation and the role of equality. This indicates that students did not fully perceive the regularity and structure underlying the proof, highlighting the critical role of meta-knowledge about proof rules in achieving completeness and acceptability.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making structural rules explicit in teaching, and suggest that Toulmin-based visualizations can effectively strengthen students’ meta-knowledge in proof co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수학 제27권 제3호 목차
- 초등학생의 수학 용어 학습 순서 인식에 대한 거시-메타인지적 탐색
-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성장 마인드셋 기반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하는 다중 생성형 AI(LMM)를 활용한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방법
- AI 코스웨어를 활용한 중학교 일차함수 수업에서의 수학적 주목하기
- 실제-기반 교사교육을 통한 초등교사의 기초수리력 지도 역량 개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사회 및 과학과의 수학 개념 활용 시기나 내용이 수학과 교육과정과 불일치한 경우에 대한 학생 이해 사례 분석
-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등호와 동치 관계’ 이해 분석
- 비형식적 통계적 모델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분포에 대한 추론 사례 분석: RISM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초기 수 개념에 관한 연구
- AI 기반 형성적 동료평가를 활용한 수학수업에서 AI와 학생의 피드백 특성 및 만족도 분석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 Foundations of Science
- School Mathematics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Sage
-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 Proof and proving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19th ICMI study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Theorems in school: From historic, epistemology, and cognition to classroom practice
-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 School Mathematics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Seoul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 Psychological Scienc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chool Mathematics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Notic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2-3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Eleventh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Proceedings, Second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The Mathematics Enthusias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 The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 Compendium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Cambridge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School Mathematics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