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 교과서의 시각 자료 유형과 기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Visual Materials in Art Textbooks: Types and Educational Functions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박상돈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2집, 153~18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시각 자료의 유형을 분석하고, 각 시각 자료가 교육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이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서 시각 자료의 구성 특성과 교수‧학습적 활용 가능성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시각 자료를 작품, 삽화, 사진, 동적 시각 자료, 이미지 생성형 인공지능(AI) 시각 자료, 데이터 시각화 자료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별로 기능 제작 주체, 하위 장르,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이 반영된 동적 시각 자료와 이미지 생성형 인공지능이 제작한 시각 자료의 제시가 눈에 띈다. 미술 교과서에서는 시각 자료가 단순한 삽화나 장식의 수준을 넘어서 학습 내용을 전달하고 표현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교수‧학습 매체로 활용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미술 교과서 개발 시 미술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다각적인 시각 자료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visual materials included in art textbooks developed for grades 3–4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It systematically classified the educational functions performed by each visual material type,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visual materials in art textbooks and their potential for instructional application. Visual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to six types: artworks, illustrations, photographs, dynamic visual materials, AI-generated visual materials, and data visualizations. Each type was examined in terms of its functional role, production source, sub-genres,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Notably, recent trends reveal a marked increase in the inclusion of dynamic visual materials incorporating digital technologies and visual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art textbooks, visual materials go beyond serving as mere illustrations or decorative elements; they function as instructional media for delivering learning content and guiding students’ expressive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multifaceted composition of visual materials that align with the goals of art education, offering valuable reference point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rt textbook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술 교과서 시각 자료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돈. (2025).미술 교과서의 시각 자료 유형과 기능 분석. 미술교육연구논총, (), 153-182

MLA

박상돈. "미술 교과서의 시각 자료 유형과 기능 분석."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153-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