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즐거운 생활’교과 내 미술교육 운영 경험과 교사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rt Education 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전수현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82집, 323~3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등학교 1-2학년은 아동의 창의적 표현력과 시지각 발달에 결정적인 시기이다. 그러나 즐거운 생활 교과 내 미술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즐거운 생활에서의 미술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과 경험을 갖고 있으며, 미술교육 운영의 한계와 개선방안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1-2학년 담임 경험이 풍부한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추상적인 교과서와 지도서로 인해 교육과정 재구성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수업 운영 시 추가 자료 준비가 필수적이라고 인식하였다. 즐거운 생활은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교과임에도 불구하고 놀이 경험이 과도하게 강조되어 통합교과의 본래 목적과 괴리된 형식적 통합에 머물고 있었다. 특히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미술 분량이 축소되고, 미술이 다른 교과의 보조 수단으로 활용되며, 제한된 재료와 도안 중심 활동이 지속됨으로써 저학년 미술교육의 체계적 운영이 어려웠다. 이는 3-6학년 미술학습의 연계성 약화로 이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미술교육의 도구적 활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도 구조적 제약 속에서 실질적으로 도구적 관점을 가질 수밖에 없는 딜레마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즐거운 생활에서 단계적·체계적 미술교육 체계 구축, 다양한 재료·매체 활용 기회 확대, 명확하고 구체적인 교육과정·지도서 개발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현행 즐거운 생활의 미술교육이 발달단계에 적합한 교육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질적 향상과 학년 간 연계성 강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re crucial for developing children’s creativity and visual perception. This study explore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experiences, and perceived limitations of art education with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experienced lower-grade teachers revealed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abstract curriculum and reliance on supplementary materials. Despite students’ preference for “Pleasant Life,” excessive emphasis on play led to superficial integration and reduced art content und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rt was often treated as a supplementary tool, with limited materials and standardized activities, weakening continuity in grades 3–6. Teachers faced a dilemma between valuing art’s intrinsic role and adopting an instrumental approach under structural constraints. The study suggests building a systematic, stepwise framework for art education, expanding materials and media use, and providing clear, practical teaching guides to restore art’s identity and enhance creativity and visual expres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즐거운 생활 교육 경험 및 인식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수현. (2025).‘즐거운 생활’교과 내 미술교육 운영 경험과 교사 인식. 미술교육연구논총, (), 323-349

MLA

전수현. "‘즐거운 생활’교과 내 미술교육 운영 경험과 교사 인식." 미술교육연구논총, (2025): 323-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