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Choice-Based Instruction in Grade 2 Classroom: Focused o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Unit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유은정(Eun Jung Yoo) 오민영(MinYoung Oh) 방정숙(JeongSuk Pang)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7권 제3호, 641~66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학 학습 활동에서 학생의 선택 및 주도성을 강조하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 1~2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선택 활동이 새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 활동 기반의 수업이 의도대로 실행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교과서의 덧셈과 뺄셈 단원에서 선택 활동이 포함된 6차시 분량을 대상으로 선택 활동 기반의 수학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였다. 수업은 선택 활동 안내하기, 개별 탐구하기, 다양한 방법 논의하기, 탐구한 방법 적용하기의 흐름대로 구현되었다. 각 수업 단계별로 특징적인 구현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학생들의 개별 선택 활동을 기반으로 계산 도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교과서에 제시된 아이디어를 응용한 전략, 공통적인 계산 원리에 대해 전체 논의한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선택에 있어서 변화의 양상도 분석하였는데, 많은 학생들이 2가지 이상의 활동을 선택하고 후반 차시로 갈수록 선택한 계산 방법이나 도구가 다양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은 선택 활동 기반 초등학교 수학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line with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emphasizes student choice and agency in learning, “choice activities” have been newly introduced in lower elementary (Grades 1-2) mathematics textbooks. However, implementing instruction that fully reflects the intent of these activities remains challenging.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six lessons incorporating choice activities withi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unit of a second-grade mathematics textbook. Each lesson followed a sequence of presenting the problem, introducing choice-based activities, facilitating individual exploration, discussing diverse strategies, and applying explored strategies.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 at each phase, focusing particularly on how students independently selected and utilized calculation tools, adapted textbook strategies, and engaged in shared discussions about computational principles. In addition, it examined changes over time in students’ selections. A notable finding was that many students chose more than two activities and increasingly diversified their selection of tools and strategies in later less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grounded in choice-based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수학 제27권 제3호 목차
- 초등학생의 수학 용어 학습 순서 인식에 대한 거시-메타인지적 탐색
-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성장 마인드셋 기반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하는 다중 생성형 AI(LMM)를 활용한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방법
- AI 코스웨어를 활용한 중학교 일차함수 수업에서의 수학적 주목하기
- 실제-기반 교사교육을 통한 초등교사의 기초수리력 지도 역량 개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사회 및 과학과의 수학 개념 활용 시기나 내용이 수학과 교육과정과 불일치한 경우에 대한 학생 이해 사례 분석
-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등호와 동치 관계’ 이해 분석
- 비형식적 통계적 모델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분포에 대한 추론 사례 분석: RISM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초기 수 개념에 관한 연구
- AI 기반 형성적 동료평가를 활용한 수학수업에서 AI와 학생의 피드백 특성 및 만족도 분석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3 No.7 Contents
- 当代中国语言政策中的语言意识形态
- 19 世纪英法文学与马克思主义文艺思想国外研究综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