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수자의 학습코칭개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전략, 학업적응성,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Instructor-Led Learning Coaching o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Adjustment,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황혜연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3호, 89~10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수자의 학습코칭 개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전략, 학업적응성,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25학년도 1학기 전북 소재 J대학교의 교양 교과목 「자기이해와 성장」에 참여한 41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전략 중심의 학습코칭 개입을 설계·운영했다.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자기주도성 지수 (LQ), 학업적응성,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측정하고,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주도학습전략에서는 자기주도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학습전략유형의 긍정적 전환(정체형→성실형·주도형)과 행동특성 전반의 전략적 학습 행동 강화가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응성에서는 ‘학습노력’과 ‘학습행동통제’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셋째,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에서는 전반적 향상 경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하위영역 중 ‘집단촉진’에서만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규 교과목에서 교수자의 학습코칭 개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업적응성, 일부 협력역량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대학 교육 현장에서 1학년 대상 교양교과목을 중심으로 학습전략 기반 교수자 학습코칭 개입을 정례화하고, 협력역량 강화를 이해 장기적·구조화된 협력활동 및 프로젝트(PBL) 도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instructor-led learningcoaching interventions o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adjustment,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 participants were 41 students enrolled in the liberal arts course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at J University in Jeonbuk Province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5. A learning coaching program focused on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cours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the self-directedness index (LQ), academic adjustment,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 t-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the self-directedness index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along with a positive shift in learning strategy types (from stagnant type to diligent or proactive type) and an overall strengthening of strategic learning behaviors acros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cond, in academic adjustment,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 “learning effort” and “learning behavior control” domains. Third, although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showed an overall upward trend,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group facilitation” subdomai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instructor-led learning coaching within regular courses can effectively enhance students’ self-directedness, academic adjustment, and certain aspects of collaborative compete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first-year liberal arts courses institutionalize learning strategy-based instructor coaching interventions and incorporate long-term, structured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project-based learning (PBL) to further strengthen collaborative competencies.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혜연. (2025).교수자의 학습코칭개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전략, 학업적응성,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 23 (3), 89-107

MLA

황혜연. "교수자의 학습코칭개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전략, 학업적응성,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 23.3(2025): 89-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