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북 지역 진로전담교사의 역할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Roles and Operational Strategies of Career Guidance Teachers in the Jeonbuk Region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노성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3호, 109~1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북 지역 중․고등학교의 진로전담교사 배치 실태와 효과를 분석하고,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진로전담교사 배치 여부에 따른 진로교육 운영 차이, 발달 단계별(중·고교) 요구와 차이, 전북 지역 특성을 반영한 운영 방안 도출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교육부 「2023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원자료 중 전북 데이터를 활용하고, 교사 48명(배치 32명, 미배치 16명), 학생 761명(배치 548명, 미배치 213명), 학부모 350명(배치 260명, 미배치 90명)을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2024·2025 전북 진로교육 기본계획」과 지역 통계자료를 분석에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배치 여부에 따라 진로심리검사 활용률, 「진로와 직업」 수업 운영, 진로체험 횟수, 학부모 연수 실시율 등 다수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배치교는 맞춤형 상담, 지역 산업 연계형 체험활동, 학부모 소통이 활발했으나, 미배치교는 행정 겸임으로 인한 상담 시간 부족과 프로그램 다양성 한계가 확인되었다. 발달 단계별로는 중학생은 자기이해․진로탐색 지원이, 고등학생은 진학 준비․구체적 계획 지원이 더 필요했다. 본 연구는 전국·대도시 중심 연구와 달리 전북의 농산어촌 비중, 소규모 학교 환경, 산업 구조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한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연구 의의는 전북형 진로전담교사 배치 확대, 행정 지원 인력 확충, 전문성 강화 연수 체계 구축, 디지털 기반 진로정보 플랫폼 운영 등 정책 설계의 근거를 제공한다는 데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iveness of career guidance teacher placem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Jeonbuk region and to propose opera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loc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focuses on three main questions: (1)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practice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dicated career teachers, (2) variations in developmental need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and (3) identification of locally relevant implementation strategies.
Using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s 2023 National Career Education Survey, this study extracted and analyzed responses specific to Jeonbuk.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8 teachers (32 with placements, 16 without), 761 students (548 with, 213 without), and 350 parents (260 with, 90 without). Additionally, policy documents such as the 2024–2025 Jeonbuk Career Education Plan and regional statistics were reviewed.
Th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several indicators depending on whether a career guidance teacher was placed. Schools with dedicated teachers showed higher utilization of career psychology assessments, more frequent implementation of the "Career and Occupations" curriculum, increase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greater parental engagement programs. In contrast, schools without dedicated teachers faced constraints such as limited counseling time due to administrative duties and reduced program
diversity. Developmentally, middle school students expressed a greater need for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exploration support, while high school students required more assistance with academic planning and concrete goal setting.
Unlike nationwide or metropolitan-focused studies,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unique educational context of Jeonbuk—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rural schools, small-sized institutions, and distinctive industrial structures. Th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designing regional policies, including the expansion of Jeonbuk-specific career teacher placements, enhancement of administrative support staff,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raining systems, and establishment of a digital-based career information platform.
목차
I. 서 론
Ⅱ. 전북 중‧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인식 분석
Ⅲ. 전북 중‧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배치 여부별 학생‧학부모 인식 분석
Ⅳ. 전북 중‧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및 학부모 인터뷰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원생의 국제 단기교류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 청각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모형 설계 및 개발: ‘마술로 소통하기’ 시민참여교육을 중심으로
-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결혼이주여성의 학업 동기와 전략
- 초등교사의 학교 구성원 간 관계가 교사효능감 및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한국 역대 정부의 고등교육 정책과 대학 학과 구조 변화의 관계 분석
- 정도전의 성리학 교육사상 연구 -배불론 사상 분석을 중심으로-
- 중학생이 인식한 학생·가정·학교 관련 변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교수자의 학습코칭개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전략, 학업적응성,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일반대학원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 전북 지역 진로전담교사의 역할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The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Korean Adolescents
- 늘봄학교 정책 이슈 분석 : CONCOR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지도교수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활용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