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늘봄학교 정책 이슈 분석 : CONCOR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Issues of ‘Neulbom School’ Policy : Based on CONCOR Analysis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유승민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3호, 191~21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초등 교육 현장에 전면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는 늘봄학교 정책 이슈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늘봄학교의 안정적 정착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늘봄학교 정책과 관련된 교육부, 교육청, 교직단체의 보도자료 및 언론 기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과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단체별 최상위 키워드로 교육부에서는 ‘지원’, ‘프로그램’, ‘교육청’, ‘교육’이 교육청에서는 ‘지원’, ‘프로그램’, ‘교육’, ‘교육청’이 교직단체에서는 ‘교사’, ‘교육’, ‘업무’, ‘교육부’가 언론사에는 ‘교육’, ‘프로그램’, ‘교사’, ‘지원’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특정 단체에서만 도출되는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CONCOR 분석 결과 교육부에서는 8개의 군집이, 교육청에서는 4개의 군집이, 교직단체에서는 8개의 군집이, 언론사에서는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단체별로 도출된 군집을 비교한 결과 모든 단체에서 동일하게 도출된 군집과 특정 단체에서만 도출된 군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단체별 늘봄학교 정책 이슈와 관련한 인식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늘봄학교 정책에 대한 학교 현장과 교사의 의견 반영 필요 및 늘봄학교 정책의 정체성에 대한 합의가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ssues of ‘Neulbom School’ policy, which has recently been fully introduced and operat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able establishment and efficient operation of Neulbom School in the future. For this, press releases from Ministry of Education,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s’ organizations and media articles related to the Neulbom School policy were selected and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keyword frequency analysis, the top keywords by group were ‘support’, ‘program’, ‘office of education’, and ‘education’ for Ministry of Education, ‘support’, ‘program’, ‘education’, and ‘office of education’ for Office of Education, ‘teacher’, ‘education’, ‘work’, and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teachers’ organizations, and ‘education’, ‘program’, ‘teacher’, and ‘support’ for the media. Additionally, keywords that were derived only from specific groups were identified. Second,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8 clusters were formed from Ministry of Education, 4 clusters from Office of Education, 8 clusters from teachers’ organizations, and 4 clusters from media articles. Through the clusters formed by group, it was able to identify clusters formed equally from all groups and clusters formed only from specific group. Through this, it was able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related to Neulbom School policy by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study recommend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opinions of schools and teachers on the Neulbom School policy and to discuss on the identify of the Neulbom School policy.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승민. (2025).늘봄학교 정책 이슈 분석 : CONCOR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23 (3), 191-215

MLA

유승민. "늘봄학교 정책 이슈 분석 : CONCOR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23.3(2025): 191-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