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원생의 국제 단기교류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A Qualitative Analysis of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in Short-Term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희영 이효진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제 단기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원생의 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하여, 대학원생의 국제화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실질적 운영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동아시아 3개국에서 실시된 3개의 국제 단기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원생 1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후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vivo 15를 활용하여 초기 코딩, 패턴 코딩, 초점 코딩 순으로 분석하였으며, 공동연구자 간 검토 및 참여자 확인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국제 단기교류 프로그램은 대학원생의 국제화 역량을 실질적으로 강화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자기주도적 초국적 학문 교류를 통한 국제 학술 커뮤니티 진입 경험, 둘째, 비교연구 역량 함양을 통한 비판적 사고와 융합적 연구 역량 성장, 셋째, 학문적 활력소로서 동기를 부여하고, 지속적인 성장의 원동력을 제공하는 등의 경험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으로는 국내 대학원생 대상 국제단기교류 프로그램에 대한 선도적 시도로서, 국제화 역량과 대학원생 사회화 이론 간 실증적 연계를 제시하였다. 실천적으로는 대학원생 특성을 고려한 국제 단기교류 프로그램의 실질적인 운영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BK21 사업 등 정부 정책 추진의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여 대학원 교육의 질적 내실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short-term exchange programs, aiming to derive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support the enhancement of graduate students' internationalization competencie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program participation with 11 graduate students who took part in three international short-term exchange programs held across three East Asian countr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equentially through initial coding, pattern coding, and focused coding using Nvivo 15, with validity ensured through peer review and participant verifica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ternational short-term exchange programs substantially enhanced graduate students' internationalization competencies. Specifically, participants (1) experienced entry into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through self-directed transnational academic engagement; (2) developed critical thinking and integrative research skills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competency; and (3) reported increased motivation and sustained growth as academic revital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oretically, it presents a pioneering empirical linkage between internationalization competencies and graduate student socialization theory in the context of domestic graduate students' international short-term exchange programs. Practically, it derives concrete operational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short-term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tailored to graduate students'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government policies such as the BK21 project, contributing to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graduate education.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원생의 국제 단기교류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 청각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모형 설계 및 개발: ‘마술로 소통하기’ 시민참여교육을 중심으로
-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결혼이주여성의 학업 동기와 전략
- 초등교사의 학교 구성원 간 관계가 교사효능감 및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한국 역대 정부의 고등교육 정책과 대학 학과 구조 변화의 관계 분석
- 정도전의 성리학 교육사상 연구 -배불론 사상 분석을 중심으로-
- 중학생이 인식한 학생·가정·학교 관련 변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교수자의 학습코칭개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전략, 학업적응성,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일반대학원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 전북 지역 진로전담교사의 역할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The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Korean Adolescents
- 늘봄학교 정책 이슈 분석 : CONCOR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지도교수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활용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