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Revision and Validation of University Course Evaluation Items: The Case of University A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박소연(Soyoun Park) 이재영(Jaeyoung Lee)
간행물 정보
『미래교육학연구』제38권 제3호, 27~4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A대학의 강의평가 문항 개선을 통해 교수자와 대학이 교육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강의평가와 관련한 선행연구와 타대학의 평가도구 수집 및 분석을 통해 평가 프레임워크를 만들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평가문항을 평가하였다. 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워크샵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정된 문항은 교수를 대상으로 타당화 작업을 거쳤다. 연구결과: 첫째, 강의평가의 영역과 항목을 구조화하고 이에 따라 평가문항을 배치하여 전반적인 평가의 체계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수업의 유형, 형태, 방법 등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강의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평가문항을 개선하였다. 셋째, 강의평가 문항을 10문항으로 축소하여 응답의 성실도를 제고하고 행정의 효율을 극대화 하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강의평가 문항을 체계적으로 개선하고 타당화함을써 실천적 맥락에서 수용도와 활용도가 높은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항의 개선 및 타당화 과정에서 평가 프레임워크를 적용하고 학생과 교수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도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t University A by revising course evaluation items. A course evaluation framework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n analysis of evaluation tools used at other universities. Using this framework, the existing items were evaluated and revised. Student survey and workshops were conducted to reflect learner perspectives, and the final items were validated by faculty members. The study provided three key outcomes. First, evaluation domain and items were systematically structured, enhancing the overall coherence of the assessment tool. Second, the revised items reflected diverse instructional methods, including lectures, discussions, and team projects. Third, the number of items was reduced to ten items, improving both response reliability and administrative efficiency. This study contributes practically and theoretically by offering a validated set of course evaluation items and demonstrating a stakeholder-informed validation process grounded in a theoretical framewor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연(Soyoun Park),이재영(Jaeyoung Lee). (2025).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미래교육학연구, 38 (3), 27-46

MLA

박소연(Soyoun Park),이재영(Jaeyoung Lee).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미래교육학연구, 38.3(2025): 2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