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iterature Review of Expansive Learning Theory: Focusing on Domestic Studie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지현(Ji Hyun Kim) 이은정(Eun Jeong Lee)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제38권 제3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연구 현장에서 확장학습 이론의 개념을 어떻게 논의하고 있는지를 종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맥락에서 드러나는 확장학습의 개념과 과정을 조망하여 추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확장학습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의 방법으로 총 22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을 Engeström의 다섯가지 원칙을 토대로 재구성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질적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연구물에서 활동체계의 다양한 목소리와 역사성은 두 가지 층위로 해석되고 있었다. 특히, 참여자들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시간성 층위의 역사성에 집중한 연구들이 많았다. 둘째,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이 필요한 3수준의 모순과 질적 변형과정을 포착한 연구는 비교적 적었다. 셋째, 다섯가지 원칙이 모두 연계적으로 논의된 연구는 9편으로 확인되었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Engeström의 다섯가지 원칙의 관점에서 국내 확장학습 연구를 조망해보고, 다양한 일상세계의 학습을 보여주는 렌즈로서 고려해야 할 확장학습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Expansive Learning theory is discussed in domestic research. A total of 22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tilizing an analytical framework reconstructed based on Engeström's five princip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diverse voices and historicity were interpreted at two layers in domestic research. In particular, many studies focused on the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of participants and the historicity of temporality. Second, relatively few studies observed the tertiary contradictions and qualitative transformations that require a long-term perspective. Third, relatively few studies discussed all five principles in a connected manner.
This study examined domestic expansive learning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Engeström's five principle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a lens that shows diverse learning in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