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관적 지도 제작(Subjective Mapping)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교육 사례 연구: 매체 변화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인공지능 융합의 가치
이용수 5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Creative Art Education Utilizing Subjective Mapping: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edia Transformation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조신영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95집, 501~539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0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 학습자의 경험과 감정을 바탕으로 공간을 재해석·시각화하는 주관적 지도 제작에 인공지능을 융합한 교육 모델의 가능성을 매체 변화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이론적 배경 고찰과 국내외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학습자가 기술의 수동적 소비자를 넘어 인공지능과 상호작용하며 자신의 서사를 창조하는 능동적 생산자로 성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융합 교육은 개인의 서사를 예술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표현력과 지역 정체성 탐구를 심화시키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융복합적 사고 능력을 통합적으로 함양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간의 감성과 첨단 기술이 조화된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과 실천적 함의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an educational model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subjective mapping in art education, which reinterprets and visualizes space based on learners' experiences and emo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transformation. Through a review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his study confirmed that learners evolve from passive consumers of technology into active producers who create their own narratives by interacting with AI. This convergence education enhanced creative expression, deepened the exploration of loc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embodying personal narratives into art, and holistically fostered digital literacy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direction for future art education that harmonizes human sensibility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presents its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매체 변화에 따른 주관적 지도 제작 미술교육 사례 분석
Ⅳ. 매체 변화에 따른 주관적 지도 제작의 교육적 함의와 가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 지역 문화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경기도 사립 안상철 미술관의 어린이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IX 시대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폴리스(DP)와 디지털 커먼즈(DC)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과제
- 예술적 자기 탐색: 미술치료사의 감정 소진에 관한 자전적 예술 기반 연구
- 초기노인여성의 감정표현불능 감소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 포스트휴머니즘 기반 생성형 AI 활용 미술수업에서 창작 주체성의 의미 탐색: 중학교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 ADHD 아동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2022 개정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의 미술 활동 관련 예시 작품 분석
- 중년기 남성의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 정체성 역량 분석을 위한 블룸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사회정서학습·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체계에 기반한 분석틀의 설계와 적용
-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개로 확장된 미술교육 역할
- 현대미술 감상을 위한 온라인 소셜 오브젝트 적용 사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론 뮤익> 전시를 중심으로
- 주관적 지도 제작(Subjective Mapping)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교육 사례 연구: 매체 변화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인공지능 융합의 가치
- 아토그래피 기반의 아트보드게임형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감각 정원> 프로그램 실행을 중심으로
- 디오라마 기반 조형 수업에서의 물성 감각과 매체 탐색에 관한 실행연구: 고등학생의 조형 활동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 상상력과 미술교육: 가능성과 교육학적 방향성
- 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이 갖는 교육과정적 함의
- 문화예술교육사의 팀티칭 경험과 의미
- 사회참여미술교육 담론에 기초한 2022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형성체(Gebilde)’ 개념의 미술교육적 고찰
-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경계 너머의 아토그래피(a/r/tography): 미술교사의 정체성 탐구를 위한 아토그래피의 비판적 이해와 확장
- 치매안심센터 이용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가구 디자인 연구 - 비대칭적 균형을 중심으로
-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