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상력과 미술교육: 가능성과 교육학적 방향성

이용수  9

영문명
Imagination and Art Education: Possibilities and Educational Directions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류지영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5집, 145~18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미술교육의 과제와 미래 교육의 향방을 조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미술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와 같은, 미술의 교과로서의 본질과 방향성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과 성찰이 다루어져야 한다. 인공지능(AI) 시대와 함께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를 비롯한 학교 교육 전반에서 미술 활동의 내용과 정체성의 변화에 직면한 현재 상황에서, 교육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예술로서 미술교육의 의의와 방향성에 대해 심층적 논의가 요청된다. 미술교육의 궁극적인 의의를 탐색하는 하나의 방향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의 상상력의 문제를 교육학적 전망으로 확산하여 탐색한다. 미술은 추상화 및 구체화의 시각화 능력, 시각적 공간적 물질적 감각적 창의 능력 등 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예술의 한 방법이다. 상상력의 관점에서 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에 대한 논의를 위해 여기서는 키렌 이건(Kieren Egan)의 교육학적 접근에 의해 상상력을 둘러싼 기존의 경험중심 교육철학에서의 문제점을 구체화하고 상상력을 중심으로 미술 표현에서의 인지와 심미적 감성, 그리고 그 교육학적 접점 및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미술은 예술로서 하나의 삶의 형식이며, 인간이 삶을 구성하는 감각의 중심으로서 상상력은 단순히 ‘새로운 것을 생각하는 힘’이 아니라 좀 더 다른 삶의 조건을 사유하고 행동하도록 하는 힘이며 인식의 기반이다. 교육은 세계를 다시 보고 새롭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과정이며 이는 상상력에 의해 가능해진다. 미술교육은 상상력의 작용을 깊게 구현할 수 있는 교육 영역으로서, 상상력을 통해 감각-감성-인지-메타인지-의미생성-실천-공감의 교육학적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영문 초록

As one direction to explore the ultimat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roblem of imagination in art education by extending it to the broader educational perspective. In the field of art, the tasks and directions of art education warrant deeper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imagination, which enables the transformation of abstract concepts into spatial art through abilities such as concretization, visu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visual, spatial, material, and sensory creativity. This study examines Kieran Egan’s five approaches to imagination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and seeks to identify the cognitive and aesthetic sensibilities manifested in artistic expression, as well as the pedagogical contact points and methodologies that emerge from this inquiry. Art is a 'form of life', and imagination, as the core of human sense-making, is not simply a 'power to think new things', but a power to think and act on more different conditions of life. Education is a process of developing the ability to see and renew the world again, and this is made possible by imagination. Art education is an educational field that can implement this in a high density, and it enables the pedagogical integration of sensation, emotion, cognition, metacognition, meaning generation, practice-empathy.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III.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상상력
IV. 미술교육에서 상상력의 과제
V. 상상력의 미술교육적 가능성과 교육학적 방향성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지영. (2025).상상력과 미술교육: 가능성과 교육학적 방향성. 조형교육, (), 145-183

MLA

류지영. "상상력과 미술교육: 가능성과 교육학적 방향성." 조형교육, (2025): 145-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