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예술교육사의 팀티칭 경험과 의미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eam Teaching by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전수연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95집, 425~4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가 팀티칭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4명의 문화예술교육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팀티칭 경험이 문화예술교육사 개인의 성장과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팀티칭의 긍정적 경험으로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성 보완과 시너지효과’, ‘예술 장르 간 학습과 참여자 몰입도 향상’, ‘공동의 문제 해결 경험’이 도출되었다. 반면, 팀티칭의 어려움과 갈등 경험으로는 ‘교육 철학 및 태도 차이’, ‘불분명한 역할 분담과 감정적 소모’가 나타났다. 팀티칭의 교육적 영향으로는 ‘프로그램의 질 향상’과 ‘참여자에게 통합적 예술 경험 제공’이 확인되었다.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성장으로는 ‘자기 인식과 교육 철학의 확장’, ‘실천적 역량 강화’가 핵심 주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효과적인 팀티칭을 위한 제언으로 공동의 교육 철학과 수업 목표에 관한 방향성 설정, 역할 분담 및 프로그램 운영 체계에 대한 사전 조율과 피드백 체계 마련, 팀티칭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및 워크숍 운영, 지속 가능한 네트워크 구축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in team teaching and examines the meanings of those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eam teaching experience on their individual growth and o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multiple perspectiv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ositive experiences of team teaching were 'supplementing professionalism and synergy effect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ross-genre learning in art and improvement of participant immersion'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ies and conflict experiences of team teaching included 'difference in educational philosophy and attitude' and 'unclear division of roles and emotional exhaustion'. Team teaching's educational influences were confirmed to 'improve program quality' and 'provide an integrated art experience to participants'. As for the growth as an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expansion of self-awareness and educational philosophy' and 'reinforcing practical capacity' were the core themes. As a suggestion for effective team teaching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directional setting for comm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instructional goals, pre-coordination and feedback on role sharing and program operation systems, training workshops to strengthen team teaching capabilities,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network were suggested.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 지역 문화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경기도 사립 안상철 미술관의 어린이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IX 시대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폴리스(DP)와 디지털 커먼즈(DC)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과제
- 예술적 자기 탐색: 미술치료사의 감정 소진에 관한 자전적 예술 기반 연구
- 초기노인여성의 감정표현불능 감소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 포스트휴머니즘 기반 생성형 AI 활용 미술수업에서 창작 주체성의 의미 탐색: 중학교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 ADHD 아동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2022 개정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의 미술 활동 관련 예시 작품 분석
- 중년기 남성의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 정체성 역량 분석을 위한 블룸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사회정서학습·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체계에 기반한 분석틀의 설계와 적용
-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개로 확장된 미술교육 역할
- 현대미술 감상을 위한 온라인 소셜 오브젝트 적용 사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론 뮤익> 전시를 중심으로
- 주관적 지도 제작(Subjective Mapping)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교육 사례 연구: 매체 변화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인공지능 융합의 가치
- 아토그래피 기반의 아트보드게임형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감각 정원> 프로그램 실행을 중심으로
- 디오라마 기반 조형 수업에서의 물성 감각과 매체 탐색에 관한 실행연구: 고등학생의 조형 활동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 상상력과 미술교육: 가능성과 교육학적 방향성
- 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이 갖는 교육과정적 함의
- 문화예술교육사의 팀티칭 경험과 의미
- 사회참여미술교육 담론에 기초한 2022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형성체(Gebilde)’ 개념의 미술교육적 고찰
-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경계 너머의 아토그래피(a/r/tography): 미술교사의 정체성 탐구를 위한 아토그래피의 비판적 이해와 확장
- 치매안심센터 이용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가구 디자인 연구 - 비대칭적 균형을 중심으로
-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