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개로 확장된 미술교육 역할

이용수  9

영문명
Exploring the Role of Art Education Mediating between Humans and Digital Technology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정옥희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5집, 445~46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 인간과 비인간(기계)의 상호 얽힘의 관계 속에서 창의적 상호작용으로 생성되는 예술의 변화된 개념을 고찰하고 이에 따라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개로서 확장된 미술교육의 역할을 탐구한다. 연구의 방법은 상호학제적 문헌 조사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비물질성’은 감각과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환을 통해 창의성과 예술 실천의 조건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둘째, 행위자-연결망이론(ANT)을 반영하여 미술교육 공간은 감각적·윤리적·사회적 경험이 교차하는 복합적 장으로 재개념화되어야 함을 밝힌다. 셋째, 비물질로서의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자본과의 관계를 넘어선 또 다른 존재론적 문제를 제기하는 시점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유기적 협력과 개인과 사회의 공생적 협력을 실현하기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미술교육은 인간-기계의 협력적 생성 과정, 기술-비판-미학을 아우르는 시각적 리터러시 확장, 그리고 디지털 환경 속 윤리적 책무성 실천을 통해 그 사회적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 이를 통해 미술교육은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매개하는 존재론적 실천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formed concept of art generated through creative interactions within the entangled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machine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plores the expanded role of art education as a mediator between humans and digital technologies. The research address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immateriality’ of digital technology calls for a reconfiguration of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and artistic practice through a renewed perception of sense and being. Second, drawing on Actor-Network Theory (ANT), the study argues that art education spaces should be reconceptualized as complex arenas where sensory, ethical, and social experiences intersect. Third, at a time when digital technology as immateriality raises ontological issues beyond its relation to capital, the study proposes directions for art education that foster organic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s well as symbiotic cooper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e findings suggest that art education should redefine its social role by embracing collaborative processe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expanding visual literacy to encompass technology, critique, and aesthetics, and fostering ethical responsibility in digital environments. In doing so, art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as an ontological practice that mediates between humans and digital technologies.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가진 비물질성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 전환
Ⅲ.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상호작용에 따른 예술 개념의 변화
Ⅳ.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매개하는 행위로서 미술교육의 역할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옥희. (2025).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개로 확장된 미술교육 역할. 조형교육, (), 445-468

MLA

정옥희.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개로 확장된 미술교육 역할." 조형교육, (2025): 445-4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