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이 갖는 교육과정적 함의

이용수  12

영문명
Exploring the Curricular Implications of Identity-Based Personalized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이현정 윤은주 이선혜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5집, 375~39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주요 키워드인 ‘맞춤형’과 ‘정체성’ 개념을 분석하여 정체성에 기반한 맞춤형 미술교육이 갖는 함의를 교육과정 문헌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총론과 각론에 해당되는 미술과 교육과정 간에 맞춤형을 바라보는 시선에서의 온도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정체성에 대한 학령기별 접근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맞춤형 미술교육이 함의 할 수 있는 다양한 해석들을 논의할 수 있었다. 이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은 학령기별 정체성 개념의 연계성과 위계성을 통합하는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 개인의 내면적 구조와 사회적 맥락을 포괄하는 정체성 중심 설계는 맞춤형 미술교육에 대한 의미를 확장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맞춤형 교육이 학습자의 흥미, 수준, 속도 등 다양한 개별 특성을 반영하여 경험을 설계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만큼, 초등 교육과정에서도 맞춤형이 총론에 기반한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학습자 개개인의 정체성 발달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교육학적으로 고찰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identity-based personalized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ncepts of ‘personalization’ and ‘identity’ as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Through curriculum document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a discrepancy between the general curriculum and the subject-specific art curriculum in their interpretation of personalization. It also explores the developmental approaches to identity across different school levels, thereby suggesting multiple meanings of personalized art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rst, identity-based personalization in art education requires a curriculum reconstruction that integrates the continuity and hierarchy of identity across developmental stages. Second, designing art education that embraces both learners’ internal structures and their social contexts can broaden the meaning of personalization. Third, since personalized education assumes the design of learning experiences tailored to learners’ interests, levels, and learning pace,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must extend beyond generalized goals and include pedagogically grounded content and methods that support individual identity development.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맞춤형’, ‘정체성’ 키워드에 대한 교육과정 분석
Ⅳ. 교육과정 담론에 나타난 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의 의미 해석
Ⅴ.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정,윤은주,이선혜. (2025).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이 갖는 교육과정적 함의. 조형교육, (), 375-393

MLA

이현정,윤은주,이선혜. "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이 갖는 교육과정적 함의." 조형교육, (2025): 375-3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