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15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Participation Modes in Cultural Arts Education for Older Adults: Focusing on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남궁홍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5집, 87~11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니어 미술교육의 참여 양상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고, 시니어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적 의미와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국내에서 3년 이상 정기적으로 미술교육에 참여해온 시니어 참여자 5인과 전문가 참여자 2인과의 심층 면담, 참여 관찰, 현지 자료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문제는 시니어 문화예술교육의 본질적 지향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실제적 참여 양상과 그 부합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발견한 시니어 미술교육 참여의 주요 양상들을 '소외의 참여', '조건적 참여', '여가의 참여' 양상으로 범주화해 그 특징을 살폈다. 또한, 본 연구의 전문가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교육철학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한 결과 드러난 '관계형 참여', '공감의 참여', '자존적 참여' 양상 또한 다루었다. 그 과정에서 유의미한 참여를 가능케 하는 여러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제도적·현실적 한계로 지속적인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의 참여', '프로그램이 아닌 활동의 참여', '기능이 아닌 실존의 참여'를 제안하며, 시니어 참여자를 실존적 활동의 주체로 인식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연구는 시니어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적 의미가 정책과 교육 실천을 통해 실현될 가능성을 언급하며,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ultural arts education by examining participatory modes among older adult learners. The study addresses three questions: the essential intention of cultural arts education, current participatory modes in older adult education, and the alignment between the two. Field observations revealed six participatory modes: alienation, conditional, leisure, relational, empathetic, and self-existence-based participation. The first three, often observed, reflect passive or utilitarian engagement, while the latter three, though less common, reflect deeper educational meaning and were linked to educators’ strong pedagogical philosophies. Despite these promising modes, institutional barriers —such as selective inclusion, hierarchical class structures, and rigid programme designs—limit sustainable, meaningful participation. The study argues for a shift from programme-based to activity-based orientations, valuing diversity and autonomy. Ultimately, it calls for recognizing older adults as co-participants in learning, not passive beneficiaries, highlighting the broader educational value of coexistence.

목차

I.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과 연구의 과정
Ⅳ. 시니어 미술교육 현장의 참여 양상
Ⅴ.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
Ⅵ.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궁홍. (2025).시니어 문화예술교육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 87-113

MLA

남궁홍.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2025): 87-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