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휴머니즘 기반 생성형 AI 활용 미술수업에서 창작 주체성의 의미 탐색: 중학교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of Creative Agency in Art Classes Using Posthumanism-Based Generative AI: A Middle School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안상은 성열관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95집, 281~30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 기반의 생성형 AI 활용 미술수업이 중학생의 AI 인식과 창작 주체성에 미치는 변화를 탐색하였다. 수업은 사회적·문화적·물질적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포스트휴머니즘 학습 구조를 바탕으로 설계하였으며, 브라이도티(Braidotti)가 제시한 ‘지구-되기(becoming-earth)’ 개념을 기반으로 한 ‘생태’를 주제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초기에는 AI를 기술적 도구로 인식했으나, 감정 프롬프트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과 해석 경험을 거치며 인식이 확장되어 AI를 감응적 매체이자 창작 협업의 주체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창작 주체성이 인간 개인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인간–비인간 간 감응적 관계 속에서 확장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 포스트휴머니즘 기반 AI 활용 미술수업은 인간 중심의 창작 활동을 확장하고, 미래지향적 교육 설계를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ir sense of creative agency through a posthumanism-based art class employing generative AI. The clas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within a posthumanist learning framework, incorporating Braidotti’s concept of becoming-earth and the overarching theme of ecology. Initially, students perceived AI as a technical tool; however, through generating and interpreting images using emotion-based prompts, they came to regard it as both an affective and a collaborative medium for creation. In this process, they recognised that creative agency could move beyond a human-centred framework to encompass affectiv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I-based art classes can broaden creative pedagogy beyond human-centred paradigms and inform future-oriented curriculum desig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수업 적용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 지역 문화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경기도 사립 안상철 미술관의 어린이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IX 시대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폴리스(DP)와 디지털 커먼즈(DC)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과제
- 예술적 자기 탐색: 미술치료사의 감정 소진에 관한 자전적 예술 기반 연구
- 초기노인여성의 감정표현불능 감소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 포스트휴머니즘 기반 생성형 AI 활용 미술수업에서 창작 주체성의 의미 탐색: 중학교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 ADHD 아동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2022 개정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의 미술 활동 관련 예시 작품 분석
- 중년기 남성의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 정체성 역량 분석을 위한 블룸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사회정서학습·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체계에 기반한 분석틀의 설계와 적용
-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개로 확장된 미술교육 역할
- 현대미술 감상을 위한 온라인 소셜 오브젝트 적용 사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론 뮤익> 전시를 중심으로
- 주관적 지도 제작(Subjective Mapping)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교육 사례 연구: 매체 변화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인공지능 융합의 가치
- 아토그래피 기반의 아트보드게임형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감각 정원> 프로그램 실행을 중심으로
- 디오라마 기반 조형 수업에서의 물성 감각과 매체 탐색에 관한 실행연구: 고등학생의 조형 활동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 상상력과 미술교육: 가능성과 교육학적 방향성
- 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이 갖는 교육과정적 함의
- 문화예술교육사의 팀티칭 경험과 의미
- 사회참여미술교육 담론에 기초한 2022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형성체(Gebilde)’ 개념의 미술교육적 고찰
-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경계 너머의 아토그래피(a/r/tography): 미술교사의 정체성 탐구를 위한 아토그래피의 비판적 이해와 확장
- 치매안심센터 이용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가구 디자인 연구 - 비대칭적 균형을 중심으로
-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