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 문화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경기도 사립 안상철 미술관의 어린이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Children's Art Education Programs for Activating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Children's Programs at the Ahnsangchul Art Museum in Gyeonggi-do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신희연 김백균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5집, 259~28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지역사회에서 미술관은 문화 교육 기관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미술관이 평생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며, 단순한 전시 서비스 제공 공간에서 전문 교육기관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 ‘안상철미술관’이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진행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여, 지역민의 문화 접근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일회성 교육에서 시작하여 장기 프로그램으로 확장되었으며, 지역 내 초등학교와 MOU를 체결하여 교육 기관과의 본격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하나의 의미 있는 제도가 어떻게 사회적 확장을 이루는지 그 과정의 모범적 예시를 보여준다. 프로그램은 인근 초등학생의 문화 접근성을 강화하고, 미술관 전문 인력을 통해 미술 감상 및 실습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무료로 진행된 프로그램은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는 ‘우리 동네 미술관’으로서 지역 주민의 심리적 문턱을 낮춤으로써, 지역 주민을 미술관 잠재 이용자에서 자주 미술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으로 만드는 문화 접근성 강화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이처럼 어린이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모범적 사례를 통해 지역 어린이를 위한 지속적이고 맞춤형인 문화예술 교육 제공 방안을 제시하고, 미술관 접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문화 접근성 강화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art museums have expanded their role as 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s, responding to social demand for lifelong learning and transforming from exhibition spaces into professional educational organizations. This study examines children’s programs conducted at the An Sang-cheol Museum of Art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in 2023 and 2024 to explore ways of strengthening cultural accessibility in local communities. Initially a one-time activity, the program developed into a long-term initiative and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MOUs with nearby elementary schools, showing how an educational model can achieve social expansion. Designed to enhance accessibility for local students, it offered art appreciation and practice guided by professional museum staff. Provided free of charge, the program positioned the museum as a “neighborhood art museum,” lowering psychological barriers and encouraging residents to move from potential users to regular visitors. By presenting this case, the study proposes sustainable approaches to children’s art education an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cultural accessibility.

목차

I. 서론
Ⅱ. 문화접근성
Ⅲ. 경기도사립미술관 교육현황
IV. 안상철미술관 어린이 미술 교육프로그램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희연,김백균. (2025).지역 문화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경기도 사립 안상철 미술관의 어린이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조형교육, (), 259-280

MLA

신희연,김백균. "지역 문화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경기도 사립 안상철 미술관의 어린이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조형교육, (2025): 259-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