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참여미술교육 담론에 기초한 2022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2022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and Textbooks Grounded in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Discourse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강주희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95집,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참고 작품과 학생 활동을 분석하여 사회참여 미술교육의 핵심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가지 핵심 요소(① 참여・협력, ②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비판적 이해, ③ 사회 문제의 원인 탐색과 대안 모색, ④ 정체성과 사회적 책임감 형성, ⑤ 다학제성・탈경계성)를 분석 준거로 설정하고, 출판사별 관련 단원의 참고 작품 및 학생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단원에서 ② 비판적 이해와 ④ 사회적 책임 요소가 두드러졌으며, ① 참여・협력 요소도 다수의 단원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문제의 구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③ 대안을 구체화하는 활동은 제한적으로 구현되었고, ⑤ 다학제성・탈경계성은 일부 단원에서만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과서 개발 시 다섯 가지 핵심 요소를 균형 있게 반영하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교과 간 연계를 강화하며, 학습자의 사회적 실천을 확장할 수 있는 평가 체계 마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is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in Korea, based on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construct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through a discours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publish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over the past decade. Based on this framework, it examines how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ncorporate the elements of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and proposes pedagogical strategies for its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ntribution to the theoretical discourse on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which has largely been discussed through practical case studies. By analyzing how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is embedded in the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this research seeks to explore practical approaches to implementing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in schools.
목차
I. 서론
Ⅱ. 사회참여 미술교육 담론 분석
Ⅲ. 2022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사회참여 미술교육 담론과의 연계성
Ⅳ. 2022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과서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 지역 문화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경기도 사립 안상철 미술관의 어린이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IX 시대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폴리스(DP)와 디지털 커먼즈(DC)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과제
- 예술적 자기 탐색: 미술치료사의 감정 소진에 관한 자전적 예술 기반 연구
- 초기노인여성의 감정표현불능 감소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 포스트휴머니즘 기반 생성형 AI 활용 미술수업에서 창작 주체성의 의미 탐색: 중학교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 ADHD 아동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2022 개정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의 미술 활동 관련 예시 작품 분석
- 중년기 남성의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 정체성 역량 분석을 위한 블룸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사회정서학습·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체계에 기반한 분석틀의 설계와 적용
-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개로 확장된 미술교육 역할
- 현대미술 감상을 위한 온라인 소셜 오브젝트 적용 사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론 뮤익> 전시를 중심으로
- 주관적 지도 제작(Subjective Mapping)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교육 사례 연구: 매체 변화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인공지능 융합의 가치
- 아토그래피 기반의 아트보드게임형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감각 정원> 프로그램 실행을 중심으로
- 디오라마 기반 조형 수업에서의 물성 감각과 매체 탐색에 관한 실행연구: 고등학생의 조형 활동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 상상력과 미술교육: 가능성과 교육학적 방향성
- 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이 갖는 교육과정적 함의
- 문화예술교육사의 팀티칭 경험과 의미
- 사회참여미술교육 담론에 기초한 2022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형성체(Gebilde)’ 개념의 미술교육적 고찰
-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경계 너머의 아토그래피(a/r/tography): 미술교사의 정체성 탐구를 위한 아토그래피의 비판적 이해와 확장
- 치매안심센터 이용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가구 디자인 연구 - 비대칭적 균형을 중심으로
-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