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Film Education in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박상돈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5집, 205~2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영화교육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제7차 교육과정기에서부터 최근의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영화교육 관련 내용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및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포함된 영화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결과 영화를 체험 학습 자료로 활용하거나 영화 제작, 영화 분석, 영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 미술과 영화의 연계성 탐색 등이 주요한 영화교육의 내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서는 영화 제작, 영화를 활용한 직업 교육, 영화 자체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매체 교육, 미술과 영화의 연계성 탐색, 영화 감상 등이 영화교육의 내용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미술교육에서 영화교육은 영화 제작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으며 영화 감상 교육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고 있었다. 향후 미술교육에서 영화교육을 충실히 수행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영화 제작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어야 하며, 미술교육의 목적에 충실한 영화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물리적 여건을 개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영화적 형식에 충실한 영화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 영화가 미술교육의 한 내용으로 견고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film education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 related to film across the national art curriculum, from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o the most recent 2022 revision. It also investigates how film education is represent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The curriculum analysis reveals that key elements of film education include film-based experiential learning, film production, film analysis, critical understanding of film, and the exploration of connections between art and film. Textbook analysis indicates that film education is addressed through film making activities, career education using film, media literacy focusing on film as a medium, integrated art-film approaches, and film appreciation. Findings suggest that current film education in art classes tends to prioritize film production, while film appreciation and critical viewing are relatively neglected. To enhance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film education within art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eachers’ competencies in film making,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aligned with the goals of art education, and improve the physical and technical infrastructure required for implementation. These efforts will help establish film as a substantial and integrated component of art education.

목차

I. 서론
Ⅱ. 영화와 영화교육에 대한 이해
Ⅲ.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돈. (2025).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조형교육, (), 205-230

MLA

박상돈.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조형교육, (2025): 205-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