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년기 남성의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21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elf-directed Art Activity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이수진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5집, 347~37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의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 참여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참여 동기, 심리·사회적 변화, 활동의 지속 요인, 삶의 의미 재구성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참여자는 50대 직장인 남성으로, 미술에 대한 재능 발견과 주변인의 권유를 계기로 비전문가로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 창작물, 활동 기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사례 중심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술 활동은 몰입과 감정 회복을 통해 심리적 치유 경험을 제공하였다. 둘째, SNS를 통한 창작물 공유는 사회적 인정의 기회를 마련하여 관계 확장과 자아 정체성 재구성으로 이어졌다. 셋째, 미술 활동은 단순한 여가를 넘어 삶의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실천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창작 과정은 삶의 방향성과 의미를 재구성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이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중년층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eply explore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 engaging in self-directed art activities and analyze their motivations for participation, psychosocial changes, factors driving their continuity, and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meaning in life. The study employ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participant, a male office worker in his fifties, began his art career as a non-professional after discovering his talent and being encouraged by others.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in-depth interviews, creative works, and activity records. The case-based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art activities provided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immersion and emotional recovery. Second, sharing creative works through social media provided opportunities for social recognition, leading to expanded relationships and the reconstruction of self-identity. Third, art activities transcended mere leisure activities and became a central, sustainable practice, with the creative process serving as a crucial turning point for reconstructing life direction and meaning. This study confirmed the positive impact of self-directed art activiti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relationships of middle-aged men. This finding offer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programs and policy support for middle-aged me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진. (2025).중년기 남성의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조형교육, (), 347-373

MLA

이수진. "중년기 남성의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조형교육, (2025): 347-3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