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형성체(Gebilde)’ 개념의 미술교육적 고찰

이용수  12

영문명
An Art Educational Inquiry into Hans-Georg Gadamerʼs Concept of ʻGebildeʼ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5집, 469~49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0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아동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놀이 기반 접근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놀이와 예술은 여전히 분리된 범주로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놀이가 예술적 형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놀이의 창의성과 몰입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그 경험이 예술로 어떻게 이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성찰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간극에 주목하여, 가다머의 예술철학의 핵심적 개념 ‘형성체(Gebilde)’를 통해 놀이가 단순한 예비 활동을 넘어서 예술적 경험이 될 수 있는 존재론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놀이에 대한 추상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형성체의 관점에서 놀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를 현대 미술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철학적 담론과 교육현장을 매개하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두 아동의 점토 놀이 사례를 분석하며 이들의 놀이 과정에서 형성체의 존재론적 특성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분석했다. 아동이 점토를 반복적으로 만지는 행위 속에서 중간태성과 규칙성과 반복성이 생성되고, 자신이 만든 형상을 외부 대상으로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통해 마침내 형성체가 생성되는 사건성이 드러난다. 이를 통해 결론적으로 현대 미술교육에 놀이의 교육적 위치 재고, 작품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미술교육현장에 형성체 기반 수업 설계와 교사의 감각과 해석적 태도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다양한 대상을 향한 놀이중심 미술교육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growing emphasis on play in art education, it is still often treated as separate from art, and limited theoretical attention has been given to how play can be transformed into artistic form.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philosophical inquiry into how the creativity and immersion inherent in play evolve into artistic experience.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exploring the ontological potential of play through Gadamer’s aesthetic concept of Gebilde, aiming to move beyond abstract understandings of play and consider its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art education. In doing so, it aims to serve as a meaningful bridge between philosophical discourse and educational practice. To ground this exploration, the study analyzes two children’s clay play sessions, examining how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Gebilde manifest in their processes. Through the child's repetitive engagement with clay, a medial state marked by regularity and rhythm emerges, culminating in the formation of a Gebilde and the revelation of its eventful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a reconsideration of the role of play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calls for a renewe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artwork.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Gebilde-based curriculum design and the teacher’s sensory and interpretive stance, suggesting possibilities for expanding play-centered art education across diverse contexts.

목차

I. 서론
Ⅱ. 형성체의 개념 및 특징
Ⅲ. 형성체 사례 분석
Ⅳ.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5).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형성체(Gebilde)’ 개념의 미술교육적 고찰. 조형교육, (), 469-499

MLA

. "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형성체(Gebilde)’ 개념의 미술교육적 고찰." 조형교육, (2025): 469-4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