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의 미술 활동 관련 예시 작품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nalysis of Example Artworks Related to Art Activities in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The Moral Life, Inquiring Life, and Pleasant Lif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돈 송명길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95집, 185~2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미술교육 현황 파악의 일환으로 2022 개정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 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수록된 미술 활동과 관련된 예시 작품을 분석하였다. 총 16권의 교과서에서의 미술 활동 관련 예시 작품 제시 빈도를 분석한 결과 학생 작품이 64%였으며, 예시 작품 없이 삽화로 대체한 경우는 22%, 작가 작품은 3%로 나타났다. 예시 작품이 미적 체험을 제공하고, 학습 목표나 주제의 안내, 미술 지식 습득을 위한 정보 제공, 교수·학습 매체로서 기능함을 고려하였을 때 앞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교육을 위해서 교과서에서는 다양하고 질 높은 예시 작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충분한 작품 정보의 제공, 삽화 형태가 아닌 실제 작품이 제공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초등학교 1~2학년 교과용 도서의 편찬 방향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는 예시 작품으로 구성된 교과서가 집필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이해를 돕고, 풍부한 미적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art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y analyzing example artworks related to art activities in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The Moral Life, Inquiring Life, and Pleasant Life Curriculum. Sixteen textbook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types of example artworks. Student artworks accounted for 64% of the examples, 22% were replaced by illustrations without example artworks, and only 3% were works by professional artists. Given that example artworks provide aesthetic experiences, guide learning objectives and themes, convey art knowledge, and serve as instructional media, future textbooks should offer a wider variety of high-quality examples. Specifically, textbooks should include actual artworks with sufficient information rather than relying on illustrative substitutes. Such an approach will support the creation of textbooks aligned with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lower-grade learners,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art and providing richer aesthetic experiences.
목차
I. 서론
Ⅱ. 교과서 예시 작품
Ⅲ. 예시 작품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 대한 고찰
- 지역 문화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경기도 사립 안상철 미술관의 어린이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IX 시대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폴리스(DP)와 디지털 커먼즈(DC)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과제
- 예술적 자기 탐색: 미술치료사의 감정 소진에 관한 자전적 예술 기반 연구
- 초기노인여성의 감정표현불능 감소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 포스트휴머니즘 기반 생성형 AI 활용 미술수업에서 창작 주체성의 의미 탐색: 중학교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 ADHD 아동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2022 개정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의 미술 활동 관련 예시 작품 분석
- 중년기 남성의 자기 주도적 미술 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 정체성 역량 분석을 위한 블룸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사회정서학습·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체계에 기반한 분석틀의 설계와 적용
- 인간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개로 확장된 미술교육 역할
- 현대미술 감상을 위한 온라인 소셜 오브젝트 적용 사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론 뮤익> 전시를 중심으로
- 주관적 지도 제작(Subjective Mapping)을 활용한 창의적 미술교육 사례 연구: 매체 변화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인공지능 융합의 가치
- 아토그래피 기반의 아트보드게임형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감각 정원> 프로그램 실행을 중심으로
- 디오라마 기반 조형 수업에서의 물성 감각과 매체 탐색에 관한 실행연구: 고등학생의 조형 활동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 상상력과 미술교육: 가능성과 교육학적 방향성
- 정체성 기반 맞춤형 미술교육이 갖는 교육과정적 함의
- 문화예술교육사의 팀티칭 경험과 의미
- 사회참여미술교육 담론에 기초한 2022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형성체(Gebilde)’ 개념의 미술교육적 고찰
-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참여 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경계 너머의 아토그래피(a/r/tography): 미술교사의 정체성 탐구를 위한 아토그래피의 비판적 이해와 확장
- 치매안심센터 이용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가구 디자인 연구 - 비대칭적 균형을 중심으로
-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