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나 혼자만 레벨업》의 중국 독자 수용 양상에 대한 연구 ―댓글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ception of Solo Leveling Among Chinese Readers: Focusing on Commen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이여빈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86호, 179~19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Solo Leveling is more than just a webtoon; it serves as a case study illustrating how Hallyu (Korean Wave) content can establish emotional connections with East Asian readers. This paper analyzes the reception of Solo Leveling in China across four main dimensions: fandom culture, the reception of the protagonist’s character, narrative structure, and cultural translation.
First, the work fostered emotional sharing and the formation of a communal identity within a platform-based fandom culture. Practices such as commenting, repeated re-reading, and collective mourning for the artist extended beyond mere appreciation into emotional engagement.
Second, the reception of the protagonist created a space for readers to project their ideal selves and achieve emotional identification. The protagonist’s visual appeal, ethical values, and growth narrative served as key factors that deepened emotional immersion.
Third, while faithfully following the structure of the typical ‘Shuangwen’ (爽文) genre, the work was reinterpreted with Korean-style direction and emotional sensibility, thereby satisfying both the genre expectations and emotional needs of Chinese readers. The familiar system-based growth, cathartic plot development, and rapid storytelling played critical roles in enhancing genre affinity. This blend of familiarity and othernes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work’s successful hybrid reception.
Solo Leveling intricately weaves together otherness and familiarity, emotion and system, fantasy and reality. The patterns of reception observed within the Chinese fandom reveal that the work holds cultural significance that extends beyond mere popularity. Through this case, we can reaffirm how emotional communities are formed in the digital era and how emotions operate at the core of content reception.
In sum, Solo Leveling functions not merely as something to ‘watch’ but as something to ‘feel and remember together’, achieving a true ‘leveling up’ within the emotional field of fandom.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팬덤 문화와 감정적 연대 형성
Ⅲ. 주인공의 캐릭터성에 대한 수용
Ⅳ. ‘爽文’ 서사 구조와 서사적 쾌감
Ⅴ. 혼종적 감정의 수용과 문화 번역
Ⅵ. 나오는 말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詩經》 중첩어 역사 발전 연구
- 《나 혼자만 레벨업》의 중국 독자 수용 양상에 대한 연구 ―댓글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 現實과 超越의 心靈主體 - 唐君毅의 人生哲學을 中心으로 -
- 谈词的社会意义:以持拿义动词为例
- 한자 구성요소 田의 인지적 의미 체계 고찰 ―《说文解字》小篆을 중심으로
- 현대중국어 공백화 구문 및 관련 구문 ―상속 연결을 중심으로
- 중국어 ‘香’의 개념화 양상 분석
- ‘甜’ 계열 어휘의 공감각 표현 연구
- 기식성과 성조 기본주파수 간 상호작용
- 혜강嵇康 대장간 단야鍛冶의 심미심리적審美心理的 효용성效用性 연구
- 国际中文教育标准视角下韩国高考中文考试命题趋势分析 ―以2011-2025学年度高考中文考试真题为对象
- 中国区域物质文化遗产传播模式创新研究 ―以淄博传统琉璃工艺为例
- 항저우 모델과 6소룡 연구
- 중국 철강산업의 경제적효과 비교분석
- 소옹邵雍 ‘관물觀物’을 통한 교육원리 탐색
- 순자의 유가 비판에 대한 연구
- 개혁개방 전후 중국 대중가요 속 어머니 이미지의 전환 연구
- 中国短视频视域下传统文化传播的多维审视与优化路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