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혁개방 전후 중국 대중가요 속 어머니 이미지의 전환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Transformation of the Mother Image in Chinese Popular Songs Before and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루쓰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86호, 349~3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研究聚焦于中国改革开放前后(1974-1983)大众歌曲中“母亲”形象的表述变迁。通过对200首歌曲样本的定量统计与定性分析,本研究揭示了母亲形象并非经历了简单的断裂式替代,而是从单一的“政治性母体”,转变为一个“政治性母体”的延续、“个体性母亲”的崛起以及“混合型”表述三者并存的复杂多元化过程。研究发现,改革开放前(1974-1978),服务于国家意识形态的“政治性母体”是其唯一形态。改革开放后(1979-1983),“政治性母体”的出现频率虽显著下降但并未消失;与此同时,描绘真实家庭情感的“个体性母亲”大量涌现并占据主导,更出现了将二者融合的“混合型”新形态。这一转型深刻地反映了改革开放初期中国社会在意识形态、集体/个人关系及情感表达方式上的重大转变。尤其是在社会剧变期,“母亲”形象的回归扮演了社会“情感锚点”的关键角色。这一过程是官方话语、市场力量与民众情感需求三者之间复杂博弈的文化表征,本研究旨在为理解这一时期的中国大众文化与社会变迁提供新的视角。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mother image in Chinese popular songs before and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1974-1983). Throug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a 200-song sample, this research reveals that the mother image did not undergo a simple, abrupt replacement. Instead, it transitioned from a singular "political maternal body" to a complex, pluralistic process characterized by the continuation of the "political maternal body," the rise of the "individual mother," and the coexistence of "hybrid" representations.The study finds that before the Reform and Opening-up (1974-1978), the "political maternal body" serving state ideology was the sole form.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1979-1983), although the frequency of the "political maternal body" hCGsignificantly declined, it did not disappear. Concurrently, the "individual mother," depicting genuine family emotions, emerged in large numbers to become dominant, and new "hybrid" forms that fused both types also appeared.This transformation profoundly reflects the significant shifts in ide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ctive and the individual, and modes of emotional expression in early Reform-era Chinese society. Notably, during this period of social upheaval, the return of the mother image played a crucial role as a social "emotional anchor." This process is a 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complex interplay among official discourse, market forces, and the emotional needs of the popula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popular culture and social change during this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개혁개방의 사회적 배경과 문화 전환
Ⅲ. 개혁개방 이전(1974-1978): 고도 정치화 맥락 하의 ‘정치적 모체’
Ⅳ. 개혁개방 이후(1979-1983): 전환과 공존
Ⅴ. 결론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詩經》 중첩어 역사 발전 연구
- 《나 혼자만 레벨업》의 중국 독자 수용 양상에 대한 연구 ―댓글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 現實과 超越의 心靈主體 - 唐君毅의 人生哲學을 中心으로 -
- 谈词的社会意义:以持拿义动词为例
- 한자 구성요소 田의 인지적 의미 체계 고찰 ―《说文解字》小篆을 중심으로
- 현대중국어 공백화 구문 및 관련 구문 ―상속 연결을 중심으로
- 중국어 ‘香’의 개념화 양상 분석
- ‘甜’ 계열 어휘의 공감각 표현 연구
- 기식성과 성조 기본주파수 간 상호작용
- 혜강嵇康 대장간 단야鍛冶의 심미심리적審美心理的 효용성效用性 연구
- 国际中文教育标准视角下韩国高考中文考试命题趋势分析 ―以2011-2025学年度高考中文考试真题为对象
- 中国区域物质文化遗产传播模式创新研究 ―以淄博传统琉璃工艺为例
- 항저우 모델과 6소룡 연구
- 중국 철강산업의 경제적효과 비교분석
- 소옹邵雍 ‘관물觀物’을 통한 교육원리 탐색
- 순자의 유가 비판에 대한 연구
- 개혁개방 전후 중국 대중가요 속 어머니 이미지의 전환 연구
- 中国短视频视域下传统文化传播的多维审视与优化路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