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장애인의 주도적 약물치료를 위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Medication Empowerment Program for self-directed treatment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Focusing on the Concept Mapping Method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정숙희 이연진 정다은 전예원 이은향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68호, 209~23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약물치료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돕기 위해 미국의 정신장애인 당사자들이 개발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을 국내 최초로 도입하여 적용하고, 개념도 방법(concept mapping)을 활용하여 해당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약물치료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정신재활시설을 이용 중인 정신장애인 12명을 대상으로 약물치료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분석하여 82개의 핵심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최종 진술문은 연구참여자가 직접 분류하고 평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집단 유사성 행렬표를 작성하였으며,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Ward 방법)을 실시하여 개념도 지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 약물치료 역량강화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태도-인식’ 요인, ‘변화-조건’ 요인의 2개 차원으로 구분되었고, ‘약물치료 의사표현’, ‘약물치료 주도성’, ‘삶의 회복 도구’, ‘상호적 지지체계’, ‘주치의와의 협력’, ‘약물치료 개방성’과 ‘자기개념 재구성’의 7개의 군집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군집 3인 ‘삶의 회복을 위한 도구’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주도적인 약물 사용을 지원하는 도구로서의 약물치료 역량강화 활용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roduces and appl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 Medication Empowerment program developed by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Using concept mapping, it examines the program’s applicability by analyzing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12 individuals in a psychiatric rehabilitation facility. Through analysis, 82 key statements were derived, sorted, and rated, forming a group similarity matrix (GSM). A concept map was then generat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LSCAL)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rd method). The results identified two dimensions: ‘attitude-perception’ and ‘change-condition’. Participants’ experiences formed seven clusters: ‘expression of medication-related decisions’, ‘medication treatment initiative’, ‘life recovery tool’, ‘mutual support system’, ‘collaboration with psychiatrist’, ‘openness to medication treatment’ and ‘reframing of self-concept’. Among these, ‘life recovery tool’ was rated most important. These findings suggest the Medication Empowerment program can effectively encourage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take an active role in their treatment.

목차

1. 서론 및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숙희,이연진,정다은,전예원,이은향. (2025).정신장애인의 주도적 약물치료를 위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 209-234

MLA

정숙희,이연진,정다은,전예원,이은향. "정신장애인의 주도적 약물치료를 위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2025): 209-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