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기 농인여성의 신체적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s of Physical Changes in Middle-Aged Deaf Women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장유리 서홍란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8호, 263~2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년기 농인여성이 신체적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그 경험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어를 사용하여 5명의 농인여성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자료는 Colaizzi의 기술적 현상학(descriptive phenomenology)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각기능 변화로 인한 일상의 균열과 재구성’, ‘신체 통증과 갱년기 변화에 대한 이해와 점진적 적응’, ‘자기돌봄의 실천과 구조적 제약’이라는 세 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년기 농인여성의 신체적 변화는 단순한 노화에 따른 생리적 기능 저하를 넘어, 일상과 소통의 기반을 위협하는 중대한 전환점이자 존재론적 위기로 인식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연구참여자들은 삶의 구조를 재구성하고, 주체적으로 자기돌봄을 실천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성취감을 경험하기도 하였으나 청인 중심으로 설계된 서비스 및 지원체계와 같은 구조적 한계를 직면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기 농인여성의 신체 변화가 생물학적 노화로만 환원될 수 없으며, 감각적 의존성, 언어·문화적 정체성, 사회적 관계성 등 복합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러한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적·정책적 대응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middle-aged Deaf women experience physical changes and construct meaning from those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Deaf women using sign language. The data were analyzed applying Colaizzi’s method of descriptive phenomenology, resulting in three categories were : “Fragmentation and reconstruction of daily life due to changes in sensory functions”, “Understanding and gradual adaptation to physical pain and menopausal changes”, and “The practice of self-care and structural constraints.” The physical changes experienced by middle-aged Deaf women were perceived not merely as physiological decline, but as profound turning points and ontological crises that disrupted the foundations of daily lives and communication. In response, the participants reconstructed the structure of their lives and actively engaged in self-care practices. Although they have experienced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is process, they also encountered structural barriers embedded in service and support systems predominantly designed for hearing individual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hysical changes experienced by middle-aged Deaf women cannot be solely attributed to biological aging, but must be understood within a complex context encompassing sensory dependence, linguistic and cultural 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insights, practical and political measures were proposed.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WHO European(2011)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한 피해장애아동 보호 관련 법률 분석 및 개선방안
-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과 사이버 공간의 배제 구조: Cyber CPTED와 장애문화 이론의 통합적 고찰
- 장애인 야간휴일 돌봄 종사자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360° 어디나돌봄’ 사업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의 관계: 어머니의 피로감과 역기능적 대처의 직렬매개효과
- 정신장애인의 주도적 약물치료를 위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 여부에 따른 인공지능 일자리 대체 인식과 장애유형별 인공지능 활용 욕구 분석
- 미국과 독일의 장애인 직업 재활 제도 측면에서 본 공민권 모델의 한계와 대안
- 중년기 농인여성의 신체적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