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야간휴일 돌봄 종사자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360° 어디나돌봄’ 사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Practice Experiences of Disability Care Workers during Night and Holiday Shifts: Focusing on the ‘360° Anywhere Care’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이지선 김지혜 김은혜 최려나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8호, 149~17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의 ‘360° 어디나돌봄’ 야간·휴일 중심 장애인 돌봄 공모 사업에 참여한 종사자들의 실천 경험을 중심으로, 돌봄 노동의 구조적·정서적 특수성과 제도 실행의 한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에 참여한 돌봄 종사자 2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고, 주제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돌봄의 의미와 가치 인식’, ‘실천 과정에서의 구조적 제약’, ‘지속 가능한 개선 방안’이라는 세 개의 상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종사자들은 돌봄을 정서적 관계 형성과 회복의 공간으로 인식하는 한편, 인력 부족, 낮은 처우, 감정 노동의 심화로 인한 심리적·물리적 부담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제도 기반 및 행정 체계 개선, 접근성 및 이용 편의 향상, 인력 운영 및 처우 개선, 시간 유연성과 충분성을 반영한 돌봄 체계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돌봄 종사자의 관점에서 야간·휴일 중심 장애인 돌봄 사업의 실효성을 조망하고, 지속 가능한 돌봄 정책 수립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care work and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encountered in the implementation of policy, based on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care workers participating in Gyeonggi Province’s ‘360° Anytime Care’ programme, which provides night and holiday care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with 29 care workers involved in the programme, and thematic analysis was employed. The findings revealed key themes including perceptions of the meaning and value of care, structural constraints in practice,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improvement. Participants viewed care as a space for emotional connection and recovery, yet reported considerable psychological and physical burdens caused by staff shortages, poor working conditions, and the intensification of emotional labour.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strengthen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enhance accessibility and user convenience, improve workforce management and employment conditions, and establish a care model that reflects temporal flexibility and sufficiency. By foregrounding the perspectives of care workers, this research offers practical insights into the effectiveness of night and holiday disability care services and proposes directions for developing sustainable care polic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WHO European(2011)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한 피해장애아동 보호 관련 법률 분석 및 개선방안
-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과 사이버 공간의 배제 구조: Cyber CPTED와 장애문화 이론의 통합적 고찰
- 장애인 야간휴일 돌봄 종사자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360° 어디나돌봄’ 사업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의 관계: 어머니의 피로감과 역기능적 대처의 직렬매개효과
- 정신장애인의 주도적 약물치료를 위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 여부에 따른 인공지능 일자리 대체 인식과 장애유형별 인공지능 활용 욕구 분석
- 미국과 독일의 장애인 직업 재활 제도 측면에서 본 공민권 모델의 한계와 대안
- 중년기 농인여성의 신체적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