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he Outcom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Community Transition Facilitie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하경희 김경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8호, 119~14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건강 정책에서 탈원화의 역할을 하는 지역사회전환시설의 기능, 성과 및 한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환경변화에 따른 운영체계 개선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전환시설 전체 7개 기관을 대상으로 입소자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을 하였다. 2023년 1년간 입소자 487명에 대한 입소 전후의 변화를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입소자, 가족 및 유관기관 실무자 총 14명을 대상으로 이용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전환시설을 이용함으로써 정신과적 증상, 삶의 질, 일상생활 및 대인관계 기능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퇴소 후 1개월 시점 지역사회 거주율이 89%, 외래유지율이 93.7%로 국가정신건강 현황조사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24시간 전문가의 개별화되고 밀착적인 서비스를 통해 약물증상관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의식주, 건강, 관계, 일상활동, 지역사회 참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삶을 회복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간, 규칙, 접근성, 연계에서의 한계점도 지적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전환시설의 기능을 ‘단기거주 집중 사례관리’로 명확히 하고, 이를 위한 시설, 인력, 서비스 체계, 산출 기준 및 운영체계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rovements to the operational system of community transition facilities, which play a role 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process within mental health policy, by analyzing their functions, outcomes, and limitations in the context of changing policy environments. A comprehensiv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cross all seven community transition facilities. Quantitative analysis examined changes among 487 residents over the course of 2023, assessing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facility admission. In addition,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4 individuals, including residents, family members, and service providers, to explore user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sychiatric symptoms, quality of life, daily living skills, and interpersonal functioning following facility use. One month post-discharge, the community residence rate was 89%, and the outpatient service retention rate was 93.7%, both surpassing national mental health survey benchmarks. Qualitative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stabilization of symptom management and recovery of life functions—including housing, food, health, relationships, daily activities, and community participation—through individualized, intensive, 24-hour professional support. Nonetheless, limitations regarding facility space, operational rules, accessibility, and interagency linkages were also identifi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at the role of community transition facilities be clearly defined as “short-term residential intensive case management”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facility infrastructure, staffing, service delivery systems, performance standards, and overall operational frameworks.
목차
1. 서론
2. 문헌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WHO European(2011)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한 피해장애아동 보호 관련 법률 분석 및 개선방안
-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과 사이버 공간의 배제 구조: Cyber CPTED와 장애문화 이론의 통합적 고찰
- 장애인 야간휴일 돌봄 종사자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360° 어디나돌봄’ 사업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의 관계: 어머니의 피로감과 역기능적 대처의 직렬매개효과
- 정신장애인의 주도적 약물치료를 위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 여부에 따른 인공지능 일자리 대체 인식과 장애유형별 인공지능 활용 욕구 분석
- 미국과 독일의 장애인 직업 재활 제도 측면에서 본 공민권 모델의 한계와 대안
- 중년기 농인여성의 신체적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