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WHO European(2011)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한 피해장애아동 보호 관련 법률 분석 및 개선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Legal Frameworks for Proctecting Abus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 Focusing on the WHO European (2011)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권희순 이기영 정다은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8호, 29~6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피해장애아동 보호 관련 법률을 비교 · 분석하여 현행 장애아동 학대 대응체계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피해장애아동 보호와 관련한 법률 등 중에서 장애인복지법 · 아동복지법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WHO European(2011)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선별적 접근과 대상 특화 접근으로 구분하여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선별적 접근은 주요 개념, 신고접수, 현장 출동 및 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대상 특화 접근으로 응급조치 등 보호조치, 보호계획 수립 및 피해자 지원, 사후관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 · 아동 · 학대 등의 주요 개념 정의가 법률마다 차이가 있었고, 피해장애아동과 관련한 주요 개념의 정의에 따라 신고접수, 현장 출동 및 조사, 피해자 지원 등의 학대 대응체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학대를 새롭게 정의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장애아동 학대 대응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장애아동에 대한 학대 역시 반드시 아동학대 관점에서 개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law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victimiz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child abuse response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xplore alternatives for improvement.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Using the WHO European(2011) analytical framework, the study classified the content into selective and target-specific approaches for analysis.
The selective approach focused on key concepts, reporting and reception, on-site response, and investigation. The target-specific approach analyzed emergency protection measures, the establishment of protection plans and victim support, and follow-up managem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finitions of key concepts such as disability, child, and abuse differed across the laws. It was also found that the abuse response system—covering reporting, on-site investigation, and victim support—varied depending on how victimiz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efin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피해장애아동 보호를 위한 법률 분석의 주요내용
5. 피해장애아동의 보호를 둘러싸고 있는 법률의 주요쟁점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WHO European(2011)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한 피해장애아동 보호 관련 법률 분석 및 개선방안
-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과 사이버 공간의 배제 구조: Cyber CPTED와 장애문화 이론의 통합적 고찰
- 장애인 야간휴일 돌봄 종사자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360° 어디나돌봄’ 사업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의 관계: 어머니의 피로감과 역기능적 대처의 직렬매개효과
- 정신장애인의 주도적 약물치료를 위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 여부에 따른 인공지능 일자리 대체 인식과 장애유형별 인공지능 활용 욕구 분석
- 미국과 독일의 장애인 직업 재활 제도 측면에서 본 공민권 모델의 한계와 대안
- 중년기 농인여성의 신체적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