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의 관계: 어머니의 피로감과 역기능적 대처의 직렬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hallenging Behavior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aternal Depression : Serial Mediation Effects of Maternal Fatigue and Dysfunctional Coping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박수경 허현 박희영 전은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8호, 177~20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는 자녀의 도전적 행동으로 인해 피로감을 느끼기 쉽다. 이로 인해 역기능적 대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피로감과 역기능적 대처 각각의 매개효과와 피로감이 역기능적 대처에 선행하는 직렬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성남, 부천, 수원, 고양, 포천 등), 인천 지역의 복지기관에서 생애주기별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 400명 중 양육을 주로 담당하는 어머니 335명이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피로감은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피로감과 역기능적 대처가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을 직렬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신건강 지원에 있어 어머니의 피로감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자녀의 도전적 행동을 이해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과 어머니의 피로감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ten experience significant fatigue due to their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which can lead to maladaptive coping and depressive symptom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on maternal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maternal fatigue and maladaptive coping, as well as their serial mediation. The participants were 335 primary caregiver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welfare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maternal fatigu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and maternal depression, and both fatigue and maladaptive coping had a serial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alleviate maternal fatigue as a priority in supporting the mental health of mothers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1. 서론
2. 문헌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WHO European(2011)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한 피해장애아동 보호 관련 법률 분석 및 개선방안
-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과 사이버 공간의 배제 구조: Cyber CPTED와 장애문화 이론의 통합적 고찰
- 장애인 야간휴일 돌봄 종사자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360° 어디나돌봄’ 사업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의 관계: 어머니의 피로감과 역기능적 대처의 직렬매개효과
- 정신장애인의 주도적 약물치료를 위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 여부에 따른 인공지능 일자리 대체 인식과 장애유형별 인공지능 활용 욕구 분석
- 미국과 독일의 장애인 직업 재활 제도 측면에서 본 공민권 모델의 한계와 대안
- 중년기 농인여성의 신체적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