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임동혁 홍석호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8호, 63~8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과 생활만족 요인을 알아보고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KCI, KISS, RISS, e-Article 4곳의 국내 대표 데이터베이스에서 장애인의 일, 고용, 직업, 근로, 직무, 만족, 생활만족 등의 연관 검색어를 조합하여 2024년 10월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 4,814편이 검색되었다. 선정 절차 5단계에 따라 검토한 결과 최종 30편의 연구가 선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의 주요 요인들을 직무만족(보상 및 안정성, 업무 환경 및 조건, 성장 및 관계), 생활만족(사회적 관계, 경제적 안정, 개인적 삶의 질)으로 각각 범주화할 수 있었다. 둘째, 주요 적용 이론은 크게 3분류로 동기 및 욕구 이론과 직무와 생활 관련 이론, 직업 및 조직 관련 이론으로 나눌 수 있었다. 셋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이며 매개변수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직무만족과 생활만족 간 영향은 단편적인 연결이 아닌,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요인 등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정책적 제언 및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to find out the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actors of working disabled adults and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By combining related search terms such as work, employment, occupation, labor,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in four major domestic databases (KCI, KISS, RISS, and e-Article), 4,814 domestic academic journals published until October 2024 were searched. After reviewing according to the five-step selection procedure, 30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main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job satisfaction (compensation and stability, work environment and conditions, growth and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hips, economic stability, personal quality of life). Second, the major applied theor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motivation and desire theories, job and life-related theories, and occupation and organization-related theori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orkers directly affect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also indirectly through mediating factor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s not a fragmentary connection, but a complex interaction of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facto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WHO European(2011)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한 피해장애아동 보호 관련 법률 분석 및 개선방안
- 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과 사이버 공간의 배제 구조: Cyber CPTED와 장애문화 이론의 통합적 고찰
- 장애인 야간휴일 돌봄 종사자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360° 어디나돌봄’ 사업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의 관계: 어머니의 피로감과 역기능적 대처의 직렬매개효과
- 정신장애인의 주도적 약물치료를 위한 약물치료 역량강화(Medication Empowerment)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장애 여부에 따른 인공지능 일자리 대체 인식과 장애유형별 인공지능 활용 욕구 분석
- 미국과 독일의 장애인 직업 재활 제도 측면에서 본 공민권 모델의 한계와 대안
- 중년기 농인여성의 신체적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