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덕성 교육의 필요성 고찰 -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민감성을 중심으로 -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Moral Education - Focusing on Moral Judgment and Moral Sensitivity -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난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2호, 123~1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덕성 교육은 올바른 지식, 신념, 실천을 강조하는 교육으로, 윤리적 사고보다 기술적 숙련에 집중하며 가치 중립적인 지식 전달의 전공 교육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교양교육을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올바름’은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추상적 개념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히 하기 위해 기준이 필요하다. 이때 어떤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달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준이 도덕성이다. 도덕성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을 위해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민감성의 키워드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최근 20년간(2005-2025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민감성 연구의 초록을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도덕적 판단력 교육은 유아기의 발달 단계를 중심으로 음악, 전래동화 등 활동 중심의 방법이 사용된 반면, 도덕적 민감성 교육은 주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사회적 이슈, 시민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도덕적 판단력 교육이 유아기에 국한되지 않고 대학생에게도 필요하며, 일반 대학 교양교육에서 도덕적 민감성 교육의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궁극적으로 대학은 학생들이 실제 사회 속에서 도덕적 판단력에 이어 도덕적 민감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도덕성 교육을 추진해야 한다.
영문 초록
Moral education emphasizes correct knowledge, belief, and practice, and reveals limitations when relying solely on major-centered education, which often focuses on technical proficiency over ethical reflection and transmits value-neutral knowledge. Since the notion of “rightness” is an abstract concept subject to individual interpretation, a clear standard is required to define what is considered right or wrong. In this context, morality serves as the guiding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action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moral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two key concepts of moral judgment and moral sensitivity. Using text mining analysis of research abstracts on these topics from the past 20 years (2005–2025) retrieved through the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the study found that moral judgment education has mainly targete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rough activity-based methods such as music and folktales. In contrast, moral sensitivity education has predominantly been applied to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science, social issues, and civic engag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al judgment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early childhood but is also essential at the university level. Furthermore, there is a strong need to enhance moral sensitivity education within general liberal arts curricula. Ultimately, universities should promote moral education in a way that enables students to apply both moral judgment and sensitivity in real-world social contexts.
목차
I. 서 론
Ⅱ. 도덕성 교육의 방향 – 도덕적 판단력 고찰
Ⅲ. 도덕성 교육의 방향 – 도덕적 민감성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내 학습자 집단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 분석 : 학사경고자, 학업저성취자, 학업전환자를 중심으로
- J도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 요구도 분석
- 중학생의 학업무기력, 교사관계, 학업열의 간의 관계 :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사회적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 Exploring Authentic Texts in Korean EFL Classrooms: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English Newspaper-Based Research
-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 연구
- ADHD 영재에 관한 국내, 외 연구 고찰
- 도덕성 교육의 필요성 고찰 -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민감성을 중심으로 -
- ‘삶과 연계한 교육’의 의미에 대한 고찰: -Olsen의 '삶 중심 교육'(Life-centered Education)에 근거하여-
-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 간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재한 유학생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