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J도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 요구도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J State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임명희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2호, 83~9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J도 초·중·고 및 특수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인권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을 통해 대상별 인권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인권조례에 기반한 11개 변인을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한 설문을 통해 초·중·고 및 특수학교 교사 669명과 학생 2,654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 분석은 SPSS 29.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병행 적용하여 요구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의 인권교육 요구도는 문화적 다양성 존중, 차별 금지, 학교 내 질서 유지, 학교폭력 예방 교육 변인에 대해 높았으며, Locus for Focus 모형에서는 괴롭힘·폭력 예방, 학생 존중 의견 변인이 HH분면에 위치하였다. Borich 분석 결과 가중치와 The Locus for Focus 모형의 분면에 가중치를 부여한 통합 분석을 통해 학생의 인권교육 우선순위는 차별 금지, 학교폭력 예방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경우, Borich 분석과 Locus for Focus 모형을 통해 교사의 권한, 괴롭힘·폭력 예방 변인이 우선 요구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권보호법 개정과 학생인권조례 폐지 논의 속에서 교사의 권리 회복에 대한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보였다. 연구결과 학생과 교사 간 공통된 우선순위는 도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인권교육은 대상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차별화된 내용과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fferentiated human rights education strategies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in State J by analyzing their respective needs. A survey based on 11 variables derived from the regional human rights ordinance was administer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669 teachers and 2,654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employing paired t-tests,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identify priority area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expressed high needs in variables such as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maintenance of order within the school, and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prevention of bullying and violence" and "respect for students’ opinions" were located in the high-priority (HH) quadrant. An integrated analysis combining Borich weights and quadrant weights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showed that the top priorities for students wer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r teachers, the priority needs identified were "teacher authority" and "prevention of bullying and violence." These results appear to reflect teachers' concerns about restoring their rights amidst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Teacher Rights Protection Act and the potential repeal of the Student Rights Ordinance. No common priorities were foun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erefore,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with differentiated content and methods that reflec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target group.

목차

I. 문제 제기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명희. (2025).J도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 요구도 분석. 교육종합연구, 23 (2), 83-99

MLA

임명희. "J도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 요구도 분석." 교육종합연구, 23.2(2025): 83-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