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서재복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2호, 45~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부모 교육프로그램이 학부모의 역량 증진 효과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가정 학부모들은 언어와 문화적 차이 등으로 자녀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양육 역량, 자기체계 역량, 사회적 역량을 중심으로 학부모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12명)과 통제집단(13명)을 설정하고 10회기 20시간의 학부모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추후 검사 간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부모교육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양육역량, 자기체계 역량, 사회적 역량 영역에 있어서 실험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였다. 다문화가정 학부모 교육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자기 성장과 사회적 관계 형성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부모교육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자녀 교육의 주체로서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역할 수행을 위한 지원 방안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multicultural par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enhancing their competencies. Multicultural parents often face challenges in educating their children due to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designed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ree key areas: parenting competence, self-system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an experimental group (12 participants) and a control group(13 participants) were established. The program was conducted over 10 sessions, totaling 20 hours. The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led t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arenting competence, self-system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se effects persisted even after the program concluded. However, a decline in effectiveness over time was observed, suggesting the need for continuous education. Parent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go beyond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it should also support personal growth and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hool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upport measures to help multicultural parents fulfill their roles as primary educators of their children.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내 학습자 집단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 분석 : 학사경고자, 학업저성취자, 학업전환자를 중심으로
- J도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 요구도 분석
- 중학생의 학업무기력, 교사관계, 학업열의 간의 관계 :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사회적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 Exploring Authentic Texts in Korean EFL Classrooms: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English Newspaper-Based Research
-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 연구
- ADHD 영재에 관한 국내, 외 연구 고찰
- 도덕성 교육의 필요성 고찰 -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민감성을 중심으로 -
- ‘삶과 연계한 교육’의 의미에 대한 고찰: -Olsen의 '삶 중심 교육'(Life-centered Education)에 근거하여-
-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 간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재한 유학생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