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학업무기력, 교사관계, 학업열의 간의 관계 :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Teacher Relationships, and Academic Engag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은영 임신일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2호, 101~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초기 학업무기력, 학업열의에 관심을 갖고, 중1 시기 학업무기력, 교사와의 관계,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와, 중2 시기 학업열의를 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무기력과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학업무기력과 교사관계 사이에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각각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 데이터의 중학교 1차년도(중1)와 2차년도(중2) 자료를 사용하였다(2,147명). 자료 분석은 Hayes(2017)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1 학업무기력은 중1 시기 교사관계,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중2 시기 학업열의와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냈고, 중1 시기 교사관계,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중2 시기 학업열의는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중1 학업무기력과 중2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중1 시기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중1 시기 학업무기력이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중1 시기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초기 학업무기력과 학업열의 중재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early academic helplessness and engagement in middle school,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7th grad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parenting attitudes, peer relationships,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second year (8th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link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engagement, as well as to explor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peer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and teacher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specifically from the first (7th grade) and second year (8th grade) middle school samples (2,147 participants), were utili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ayes' (2017) PROCESS Macro.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helplessness in 7th grad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relationships, parenting attitudes, peer relationships in 7th grade, and academic engagement in 8th grade. Meanwhile, teacher relationships,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in 7th grade, as well as academic engagement in 8th gra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 relationship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in 7th grade and academic engagement in 8th grade.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peer relationships in the impact of academic helplessness on teacher relationships in 7th grad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in early academic helplessness and engagement in middle school were discussed.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내 학습자 집단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 분석 : 학사경고자, 학업저성취자, 학업전환자를 중심으로
- J도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 요구도 분석
- 중학생의 학업무기력, 교사관계, 학업열의 간의 관계 :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사회적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 Exploring Authentic Texts in Korean EFL Classrooms: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English Newspaper-Based Research
-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 연구
- ADHD 영재에 관한 국내, 외 연구 고찰
- 도덕성 교육의 필요성 고찰 -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민감성을 중심으로 -
- ‘삶과 연계한 교육’의 의미에 대한 고찰: -Olsen의 '삶 중심 교육'(Life-centered Education)에 근거하여-
-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 간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재한 유학생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