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내 학습자 집단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 분석 : 학사경고자, 학업저성취자, 학업전환자를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Analyzing the Effects of Learn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for Diverse Student Groups in Higher Education : Focusing on Academic Probation Students, Low-Achieving Students, and Academic Transition Student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박민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2호, 63~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대학 현장의 학생 지원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사경고 학생, 학업저성취 학생, 학업전환 학생 등 총 19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과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역량 개발 워크숍 프로그램 참여 후, 학사경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참여 전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는 평균 5.87점(7점 척도)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 향상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학업저성취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업태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멘티)는 평균 6.43점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응 향상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업전환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업태도가 프로그램 참여 전과 비교하여 참여 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멘티)는 평균 6.73점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집단별 맞춤형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향후 대학 내 학습지원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for diverse university student group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student support programs in university settings.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participants, including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low-achieving students, and academic transition students. Paired t-test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used to analyze changes before and after program participa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probation students showed an improvement in GPA after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petency development workshop, and the program satisfaction was high with an average score of 5.87(7-point scale).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mentoring program, low-achieving student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GPA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the program satisfaction(mentees) was considerably high, with an average score of 6.43. Third, academic transi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adaptation improvement mentor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the program satisfaction(mentees) was very high, with an average score of 6.73.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learn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for diverse student groups have positive effec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earning support policies and programs within univers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내 학습자 집단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 분석 : 학사경고자, 학업저성취자, 학업전환자를 중심으로
- J도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 요구도 분석
- 중학생의 학업무기력, 교사관계, 학업열의 간의 관계 :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의 사회적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 Exploring Authentic Texts in Korean EFL Classrooms: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English Newspaper-Based Research
-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 연구
- ADHD 영재에 관한 국내, 외 연구 고찰
- 도덕성 교육의 필요성 고찰 -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민감성을 중심으로 -
- ‘삶과 연계한 교육’의 의미에 대한 고찰: -Olsen의 '삶 중심 교육'(Life-centered Education)에 근거하여-
-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시민성 간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재한 유학생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