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xploring Authentic Texts in Korean EFL Classrooms: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English Newspaper-Based Research

이용수  3

영문명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이제영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23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 영어 교육에서 영자 신문을 교수 자료로 활용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체계적인 검색과 선별과정을 통해 학술지 27편의 논문 초록으로 구성된 코퍼스를 구축하고, 이를 LDA로 분석하여 잠재적인 주제 구조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요 주제가 확인되었다: (1) 영어 자료를 활용한 읽기 지도 및 학습자 참여, (2) 자기주도적 및 전략 기반 학습, (3) 작문과 영어 동아리 활동을 통한 표현 기능 중심 수업, (4) 교수 효과성에 대한 실험 연구, (5) 초등 영어 교육에서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주제 간 거리를 시각화한 결과, 주제 1~3은 교실 참여와 기능 통합을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관련 핵심 주제를 형성한 반면, 주제 4와 5는 특수 목적 및 맥락 중심의 주변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자 신문이 인지/언어적 발달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지원하는 다기능적 교수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방법론적으로는 LDA 토픽 모델링이 단편화된 연구 결과를 통합하고 전통적 문헌 고찰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잠재적 연구 흐름을 도출하는 데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교육적으로는 다양한 교수 맥락에서 실제 자료(authentic materials)를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research trends in the use of English newspapers as instructional materials in Korean EFL education throug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A corpus of 27 journal article abstracts was constructed through a systematic search and screening process, and analyzed using LDA to uncover underlying thematic structures. The topic modeling analysis identified five distinct themes: (1) reading instruction and engagement with English-language materials, (2) self-directed and strategy-based learning, (3) output-oriented instruction through writing and English clubs, (4) experimental studies on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5) project-based learning in primary-level English education. The inter-topic distance map revealed that Topics 1-3 form a pedagogical core focused on classroom engagement and skill integration, while Topics 4 and 5 represent more peripheral yet specialized domai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glish newspapers serve diverse instructional functions, supporting both cognitive-linguistic development and learner motivation. Methodologically, the study demonstrates the utility of LDA topic modeling in synthesizing fragmented research and identifying latent patterns not easily captured by traditional reviews. Pedagogically, it offers insights for integrating authentic materials into EFL instruction across educational contexts.

목차

I.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제영. (2025).Exploring Authentic Texts in Korean EFL Classrooms: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English Newspaper-Based Research. 교육종합연구, 23 (2), 1-18

MLA

이제영. "Exploring Authentic Texts in Korean EFL Classrooms: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English Newspaper-Based Research." 교육종합연구, 23.2(2025):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