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as well as Its Current Stat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문병환 김동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493~52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J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유아교사의 인식과실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 변인 간 만족도는 χ2 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연계교육은 타인과의 관계이해와 함께 살아가는 능력 확대를 위해 필요하며,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풍부한 경험획득을 하기 때문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운영주체는 부모, 원장, 교사, 지역사회 기관 모두이며, 지역사회 연계교육 문제점은 지역사회 자원부족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연계교육 실태에서 운영횟수는 월1회, 1시간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연간교육 계획안에 통합과 지역사회와 관계형성하기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연계교육 실시 운영, 효과, 기관정보 만족도는 유아교사의 연령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운영만족도는 기관유형별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as well as its current, and for this purpose,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J Province were surveyed. From the collected data,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current state were presen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with the χ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at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augmenting abilities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and that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is effective because children can have rich experiences using community resources.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stake holders are all of the parents, institution directors, teacher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and that the lack of community resources is a problem in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Second, the most preferred form for a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class was to meet once a month, for an hour or less per class, with integration into an annual education plan, and a plan for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community. Third, th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way the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class was run, its effects, and institution information was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and satisfaction with the way the class was conducted was different also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type. With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문학 관련 연구 동향: 2004-2015년을 중심으로
- 메타포 분석을 통한 유아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 현덕의 소년·소녀 소설 연구 - 조선일보 발행『소년』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 시기의 학업 성취도 증진에 관한 연구
- 뇌기반 보육 실행을 위한 교사연구모임에서 나타난 교사들 간 협력과 전문성 신장 경험
-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 간 대화식 저널작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변화 탐색
-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칼데콧 수상작에 대한 미국의 내용분석 논문 동향
-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의 CCTV 설치·운영 현황 및 요구
- 사립유치원 주임교사로 살아가는 이야기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교사 역량 및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 영유아 권리존중에 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 및 인종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유아환경보전지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창작 그림책의 시기별(1995-2015) 아버지 인물의 변화
-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입체표현력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