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덕의 소년·소녀 소설 연구 - 조선일보 발행『소년』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이용수 5
- 영문명
- Study on the Hyeonduk's Teenage Novels - Focus on Novels that Were Included in『Sonyeon』Published by Chosunilbo -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97~21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덕은 1930년대 후반, 잡지『소년』에 7편의 소년·소녀 소설을 발표했다. 현덕은 1930년대 식민지경성을 배경으로 도시에서 살아가는 소년·소녀의 고민과 갈등에 집중하고 이들의 내면을 생생하게 묘사함으로써 아동소설에 대한 애착을 드러냈다.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주로 거리, 전찻길, 백화점, 대합실, 병원, 극장, 우체국, 전당국 등으로 1930년대 경성의 도시적 공간이며, 식민지 근대화의 상징적 공간이다. 거리의 상점에는 공, 쌍안경, 스케이트, 만화책, 사진기계, 활동사진, 환등기가 쌓여 있다. 그러나 화려한 도시의 이면에는 일제의 합법적이고 제도적인 수탈 속에서 부모를 잃고 하층민으로 전락해가는 식민지 조선의 어린 소년·소녀들의 삶이 있었다. 현덕은 이러한 현실을 작품 속에 생생하게 담아내며 어린 ‘노마’의 뒤를 잇는 주인공 ‘기수’를 탄생시킨다. 기수는 ‘부권부재(父權不在)’의 불안한 시대적 상황에서 흔들리지 않는 내면성으로 자기만의 정체성을 지켜내며, 1930년대의 ‘동정(同情)’이라는 가치를 충실히 지켜낸다. 그러나 아직은 친구를 도와줄 능력이 없기 때문에 기수의 삼촌이나 형님이 등장하여 갑자기 모든 상황이 해결된다. 이러한 결말은 공동체 속에서 아버지의 대리자 역할을 수행하는 어른들의 인정과 도움으로 갈등이 해결되는 구조를 지닌다. 전통적으로 가난한 자에 대한 공동의 원조 의무를 지녔던 전통적 가치를 작품 속에 되살리는 것으로, 현실적으로 부재한 부권을 공동체성으로 복원해 내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영문 초록
Hyeonduk published 7 teenage novels in the magazine『Sonyeon』in the late 1930s. Hyeonduk focused on the worries and conflicts of teenagers who lived in the colonial city, Kyeongseong in the 1930s. He expressed an attachment to children's novels by vividly describing the inner side of teenagers. The novel's spatial backgrounds are in Kyeonseong's urban center in the 1930s including streets, tramlines, department stores, station waiting rooms, hospitals, theaters, post offices and pawn shops. Those places are symbolic place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re are many balls, binoculars, skates, cartoons, cameras, motion pictures and slide projectors in the street shops. However, there are miserable Chosun teenagers living in the dark side of this fancy city. They lost their parents due to the colonial exploitat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and are degraded as people of low rank. Hyeonduk vividly included these realities in his novels and produced a hero, ‘Gisoo’ who succeeds ‘Noma’. Gisoo kept his own identity with unshakable determination during the unstable period when paternal authority was absent. And he preserved the value of sympathy during the 1930s. However, because he still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help his friends, Gisoo's uncle and elder brother solved all the problems. It is an ending structure that adults' sympathy and help solve conflicts. It was a trial in the novel to revive the traditional value of communal aid responsibility for the poor. It was also an expression of will to restore paternal authority though community spirit.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식민지 경성의 근대적 공간과 가난한 주인공들
Ⅲ. 공동체적 인정주의를 통한 갈등 해결
Ⅳ. 나가는 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문학 관련 연구 동향: 2004-2015년을 중심으로
- 메타포 분석을 통한 유아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 현덕의 소년·소녀 소설 연구 - 조선일보 발행『소년』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 시기의 학업 성취도 증진에 관한 연구
- 뇌기반 보육 실행을 위한 교사연구모임에서 나타난 교사들 간 협력과 전문성 신장 경험
-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 간 대화식 저널작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변화 탐색
-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칼데콧 수상작에 대한 미국의 내용분석 논문 동향
-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의 CCTV 설치·운영 현황 및 요구
- 사립유치원 주임교사로 살아가는 이야기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교사 역량 및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 영유아 권리존중에 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 및 인종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유아환경보전지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창작 그림책의 시기별(1995-2015) 아버지 인물의 변화
-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입체표현력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