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교사 역량 및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이용수 9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rect Learning Ability and Their Teaching Competence and Their Professional Recogni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영 권덕수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423~4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교사 역량 및 전문성 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교사 역량과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G와 J지역 사립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192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교사 역량, 전문성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교사 역량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였으며, 학습동기와 학습과정 관리능력이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전문성인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였으며, 학습활동 지속성, 학습자원이용관리능력, 학습동기가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what kinds of relationship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in their educational institution between their self-direct learning ability and their teaching competence recognition and their tendency to achieve performance goals. There were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show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rect learning ability and their teaching competence? Second, what kind of relationship can be see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rect learning ability and their tendency to reach performance goals? A survey was carried out by 19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oth G and J city region to investigate those question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rect learning ability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teaching competence.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rect learning ability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professional recogni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문학 관련 연구 동향: 2004-2015년을 중심으로
- 메타포 분석을 통한 유아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 현덕의 소년·소녀 소설 연구 - 조선일보 발행『소년』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 시기의 학업 성취도 증진에 관한 연구
- 뇌기반 보육 실행을 위한 교사연구모임에서 나타난 교사들 간 협력과 전문성 신장 경험
-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 간 대화식 저널작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변화 탐색
-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칼데콧 수상작에 대한 미국의 내용분석 논문 동향
-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의 CCTV 설치·운영 현황 및 요구
- 사립유치원 주임교사로 살아가는 이야기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교사 역량 및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 영유아 권리존중에 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 및 인종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유아환경보전지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창작 그림책의 시기별(1995-2015) 아버지 인물의 변화
-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입체표현력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