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유아환경보전지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Knowledge Scale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승 차숙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459~49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들 중 환경적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유아환경보전지식 측정을 위한 유아교사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 및 조사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유아환경보전지식척도의 예비시안을 작성하였으며, 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와 예비조사 대상들로부터 안면타당도를 검증받아 최종시안으로 확정하였다. 본 검사 자료로는 총 550부를 배부하였고, 그 중 512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하게 작성된 28부를 제외한 48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AMOS 21.0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고, 전 과정에서 5명의 전문가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본 검사에서 문항양호도(문항변별도, 문항반응분포)와 척도양호도(신뢰도,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유아의 지속발전교육에 기반 한 유아환경보전지식을 측정하는데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최종 4개 구성개념(흙의 보전, 공기의 보전, 쓰레기 분리수거, 물의 보전) 9개문항의 유아환경보전지식척도가 마련되었으며, 신뢰도 검증 결과 전체 척도의 Cronbach α 값이 .89,각 하위요인별로도 .70 ~ .82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scales for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Knowledge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 subjects were the 484 infan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a part of the Gyeongnam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 AMOS 21.0 program. A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 score of the items was good. The four factors selected by the factor analysis were respectively named soil preservation, air preservation, separate garbage collection, and water preservation, and 9 items were finally selected. Additionally, after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the Cronbach’s value was found to be very high at .89, Thus, the scale of this study is regarded as reliable.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scales for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Knowledg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research are a stable tool with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ed and consist of questions that can well discriminate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Knowledge of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문학 관련 연구 동향: 2004-2015년을 중심으로
- 메타포 분석을 통한 유아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 현덕의 소년·소녀 소설 연구 - 조선일보 발행『소년』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 시기의 학업 성취도 증진에 관한 연구
- 뇌기반 보육 실행을 위한 교사연구모임에서 나타난 교사들 간 협력과 전문성 신장 경험
-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 간 대화식 저널작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변화 탐색
-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칼데콧 수상작에 대한 미국의 내용분석 논문 동향
-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의 CCTV 설치·운영 현황 및 요구
- 사립유치원 주임교사로 살아가는 이야기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교사 역량 및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 영유아 권리존중에 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 및 인종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유아환경보전지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창작 그림책의 시기별(1995-2015) 아버지 인물의 변화
-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입체표현력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