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이용수 79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an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유인숙 김민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2호, 21~4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 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연천군에 소재한 P어린이집과 P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3-4세 자녀들을 둔 24명의 어머니이다. 이들은 참여 가능성에 따라 동수로 나뉘어 참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배치되었다. 참여집단의 어머니는 8 세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반면 비교집단의 어머니는 가정통신문을 통한 부모교육을 받았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검사로 자녀의 부정적정서에 대한 부모반응태도와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을 평가하는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참여집단의 어머니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지지적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었고 비지지적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반면 비교집단의 어머니는 지지적 반응 중 일부하위요인에서만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을 뿐 나머지 반응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있어서도 참여집단의 자녀들에게서만 유의미한 증가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이는 코칭프로그램의 체계적인 훈련과 더불어 그림책을 통하여 참여어머니와 유아가 이야기 장면에서 인물들의 감정선을 이해하고 스스로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며 이와 관련된 역할놀이 등에 참여함으로써 긍정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이 프로그램은 참여집단의 어머니자신뿐만이 아니라 그들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 또한 증가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an emotion coach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 mothers who had 3-4 year-old children at P nursery center and P kindergarten in the Yeoncheon, Gyeonggi Province.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parent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8 session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two checklists before and after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e checklists were about the mother’s response attitudes to their children’s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and their children’s abilities to control their emotions. In the results,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improved their supportive response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reduced their non-supportive reaction. However,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also had increased their supportive responses withou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ce.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was neither passive lectures nor one-time off. This program ca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s using picture books as well as provide systematic coaching strategies. While mothers read a book, they could analysis and understand the feelings of the characters for each scene. And during the program, they had a chance to reflect upon themselves, and they did a role-play to change of their response attitude. Thus they could find a positive solution for coping with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However, another important effect of this program was based on the increased ability of children to control their emo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목차
Ⅰ.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문학 관련 연구 동향: 2004-2015년을 중심으로
- 메타포 분석을 통한 유아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 현덕의 소년·소녀 소설 연구 - 조선일보 발행『소년』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 시기의 학업 성취도 증진에 관한 연구
- 뇌기반 보육 실행을 위한 교사연구모임에서 나타난 교사들 간 협력과 전문성 신장 경험
-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분석
- 유아-교사 간 대화식 저널작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변화 탐색
-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칼데콧 수상작에 대한 미국의 내용분석 논문 동향
- 지리그림책의 삽화를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의 CCTV 설치·운영 현황 및 요구
- 사립유치원 주임교사로 살아가는 이야기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교사 역량 및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 영유아 권리존중에 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 및 인종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유아환경보전지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창작 그림책의 시기별(1995-2015) 아버지 인물의 변화
- 식재료 탐색을 통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입체표현력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