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를 경험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제안에 대한 질적 탐구

이용수  5

영문명
A qualitative inquiry into the perceptions, practices and suggestions of chidcar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COVID-19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선미 이대균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325~35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로 어린이집 보육교사가 인식한 총체적 어려움과 실천 방법을 제시하여,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는 방안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면담, 연구자 저널, 문서 및 동영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려움으로 영유아 언어와 사회성 발달 부진의 해결점을 모색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부모협조가 부족했으며, 추가된 업무와 스트레스에 소진되어 보육 공백을 우려했다. 둘째, 보육교사가 실천한 방법으로 보육교사는 코로나 대응지침의 실행과 외부지원 없이 어린이집 행사를 전담했다. 그리고 코로나 예방캠페인을 위한 동영상 제작과 부모교육을 했으며, 긴급보육을 실천했다. 셋째, 보육교사가 제안한 방안으로 보육교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대한 관리·감독 일원화를 제안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동 보건을 담당할 전담부서의 신설을 제기했으며 온라인 보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시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거시적 측면에서 정책적으로 관리·감독 일원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복지적으로 아동보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강조했으며 교육적으로 온라인 보육의 필요성을 제안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inquiry of the proposed method to prepare for post-corona through the overall difficulties and practice methods recognized by childcar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due to coron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difficulties that childcare teachers recognized, childcare teachers had limitations in finding solutions to poor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lacked parental cooperation, and were exhausted from added work and stress, which caused them to worry about the childcare vacuum. Second, as the methods practiced by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teachers implemented the corona prevention guideline and were dedicated to the daycare center events. Additionally, they also produced videos for the corona prevention campaign, did parent education and practiced emergency childcare. Third, as the solutions proposed by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teachers suggested unification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as well as things that need policy institutionalization.. In addition, it rai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afety organization for child health and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online childcare progra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macroscopically, suggesting the need for unification of management & supervision from a policy point of view, emphasizing social awareness of child health in terms of welfare, and suggesting the need for online childcare in terms of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미,이대균. (2022).코로나19를 경험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제안에 대한 질적 탐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 (1), 325-352

MLA

이선미,이대균. "코로나19를 경험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제안에 대한 질적 탐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1(2022): 325-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